아주경제 허희만 기자 =충남 부여군이 인구늘리기를 위한 기업유치, 정주환경 조성, 귀농정책, 지원조례 개정을 등을 골자로 한 ‘인구 7만 지키기 플랜’ 추진에 올인하고 있다.
지난해 7만1143명이던 부여군 인구는 15일 현재 7만827명으로 316명이 줄었다. 사망자 257명에 비해 급격히 적은 91명의 출생자 등 자연적인 인구감소를 따라잡기가 힘든 실정으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먼저 올 한해 2,323명의 전입목표를 세우고, 매달 마을별‧부서별‧기관‧단체별 전입시책을 실행한 후 전입 실적을 점검하는 전입목표제를 추진 중이다. 15일 기준 700명을 전입시켜 32%의 실적달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 홍산일반산업단지 조성 및 우량기업 유치, 청년 일자리 발굴, 기업지원 및 근로자 전입 지원 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여 전입을 지속적으로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지난해 도시를 떠나 농촌에서 제2의 인생을 설계한 인구가 10만명을 넘은 것으로 추산돼 귀농‧귀촌인 유치는 인구증가의 큰 역할을 할 전망이다.
이에 귀촌인 맞춤형 프로그램, 예비 귀농체험 캠프 운영, 귀농인 보육센터 조성, 귀농‧귀촌인 세제 지원 등 귀농‧귀촌희망자 발굴부터 정착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관내 학교와 군부대, 기업을 방문해 전입을 홍보하고, 5월 중 조례개정을 통해 전입학생 생활용품 구입비 지원 확대 및 넷째 아이 이상 출산한 가정에 출산장려금 1,000만원(5년간 분할지급)으로 상향 조정 등 전입과 출산분위기를 조성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학과 증설 및 문화 마이스터고등학교 설립, 귀촌인 유치를 위한 탤런트 마을 조성, 노인복합단지 내 임대아파트 조성을 통한 정주여건 개선 등을 추진한다.
군 관계자는 “지자체 간 사활을 건 인구늘리기가 진행 중이라 어려운 상황이지만, 부여군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살고 싶은 지역으로 만들겠다”며 “일시적인 주소이전이 아닌 뿌리를 내리고 부여군민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