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1분기 대형(9인치 이상) LCD 패널 시장(출하량 기준)에서 LG디스플레이가 3749만대, 24.3%의 점유율로 26분기째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중국의 BOE 17.3%(2666만대), 대만의 AUO 15.8%(2444만대), 대만의 이노룩스가 14.8%(2291만대) 등으로 뒤를 이었다.
그동안 LG디스플레이와 함께 양강 체제를 구축했던 삼성디스플레이는 1분기 2243만대를 출하해 14.5%의 점유율로 5위에 그쳤다. 지난해 1분기(19.2%)와 비교하면 점유율은 4.8% 포인트 하락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해 전체 대형 LCD 패널 시장에서 1억2156만대를 출하해 이노룩스에 이어 사상 첫 3위로 내려간 바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부진은 LCD 패널 공정 전환 과정에서의 수율 하락이 영향을 미쳤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원가 개선을 위해 공정 마스크 수를 줄이고 유리기판 두께를 기존 0.5T(mm)에서 0.4로 전환하고 있다.
대형 모니터 및 노트북 시장 수요가 감소하고 있는 데다 삼성전자가 이 시장에서 서서히 발을 빼면서 IT 부문에서도 출하량이 줄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해 말 천안공장의 5세대 라인을 폐쇄하고 장비를 중국업체에 매각하는 등 전체 LCD라인 8개 중 5개의 문을 닫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일부 수율 감소가 있었지만 전체적으로는 프리미엄·고부가 추구 전략에 따른 물량 감소 탓이라는 입장이다.
물량 확대보다는 고부가 프리미엄 제품 위주의 수익성 전략을 펼치면서 출하량 기준 점유율이 다소 하락한 것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분기 매출 기준으로는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가 여전히 글로벌 1·2위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