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예술인복지재단, 예술인의 안정적 창작환경 구축에 주력
창작준비금, 예술인 신문고, 계약·저작권 교육 등 호평
예술인 파견 사업으로 작년 한 해 500명 기업과 연계
아주경제 박상훈 기자 ="쌀이나 김치를 조금만 더 얻을 수 없을까요. 번번이 정말 죄송합니다."
그렇지만 그 이후에도 배우 판영진·김운하·우봉식 씨 등이 팍팍한 현실에 스러져갔고, 예술인의 삶에 변화는 큰 없었다. 재단은 이런 열악한 예술창작 환경을 개선하고 예술인들의 안정적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12년 설립됐다.
박계배 대표는 "복지정책을 구현하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은 무관심"이라고 잘라말한다. 예술인 복지에 대해 누구보다 가장 잘 알고 있어야 할 예술인들조차 그것에 대한 관심이 낮다는 것이다. 박 대표는 "복지제도가 자리잡기 위해서는 예술인의 가치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공감대 형성도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재단은 지난 4년간 예술인의 안정적 예술창작 환경 구축을 목표로 4개(창작 안정화, 직업역량 강화, 예술환경 개선, 사회안전망 구축)의 사업 영역에서 11개의 복지사업을 운영해 왔다. 세부적으로는 창작준비금 지원, 예술인 파견지원, 계약·저작권 교육, 법률 상담, 예술인 신문고, 사회보험료 지원 등이 있으며 현재까지 이를 통해 4만여명의 예술인들이 직·간접적인 혜택을 받았다.
이 중 재단의 대표 사업이라 할 만한 것이 바로 예술인 파견지원, 예술인 신문고, 창작준비금 지원 사업이다.
편의점, 호프집 알바 등 부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예술인들을 위해 자신의 본업(예술활동)과 병행할 수 있도록 기관·기업과 연계시켜주는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은 작년 한 해 500명의 예술인을 기업과 연계했으며, 올해는 1000여 개의 예술분야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박 대표는 "지금은 재단이 고용을 지원하지만, 언젠가는 기업들이 스스로 예술인들을 고용하는 '산업의 문화화'가 구현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예술인 신문고는 문화예술계의 불공정한 관행을 개선하고 상담, 신고, 사실조사, 소송 등을 지원하는 제도로서, 오는 5월4일 예술인복지법 개정안 시행과 함께 더욱 강화되어 서면계약 의무화와 불공정 행위 행정제재 등 공정한 예술 생태계 조성에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소득이 없는 시기에도 예술인들이 안정된 생활속에 창작활동을 할 수 있게끔 하는 예술인 창작준비금은 지속가능한 예술활동의 도약판이 돼주고 있다는 평가다. 1인당 300만원(원로 예술인은 200만원)까지 지원되던 창작준비금 규모는 올해부터 예술인, 원로예술인 구분 없이 모두 1인당 300만원까지로 확대됐으며 지원 요건도 다소 완화됐다. 지난해 총 3527명이 이 지원금 혜택을 받았고, 올해는 4000명을 지원할 계획이다.
올해로 취임 2년차를 맞는 박 대표는 30년 넘게 연극계에 몸담아 온 베테랑 연극인으로서 "극장에 있을 때가 가장 행복하다"고 말한다. 그래서일까. 그는 늘 예술인들의 입장에서 먼저 생각하고 그들을 대변하려 애쓰는 편이다.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예술환경 조성과 적극적 복지정책 시행으로 예술인들의 자생력 강화에 힘쓸 겁니다. 그래야 대한민국 문화예술이 큰 도약을 이룰 수 있을 테니까요." 안경 너머 보이는 그의 눈빛이 유난히 형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