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스마트팜 보급 속도↑…모태펀드·크라우드 펀딩 조성

2016-04-20 11:14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정부가 스마트팜 보급에 열을 올리고 있다. 우선 정부는 작물 재배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스마트팜 확산을 위해 전용 모태펀드와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조성 등에 나서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스마트팜 보급 속도를 높여 전국으로 확산하고자 '스마트팜 확산 가속화 대책'을 마련해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2014년부터 스마트팜 보급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 결과, 일선 농가에서 생산품질 향상, 농가 수입 증가 등 성과를 보였다. 그럼에도 농업 현장에서 초기 투자 비용 부담, 기술 활용 미숙, 핵심 기술·부품 표준화 미흡 등이 스마트팜 확산에 걸림돌로 지적됐다.

이러한 현장 애로사항을 반영해 우선 초기 투자여력이 부족한 농업인의 자금 부담을 덜어주고자 민간자본 투자방식을 다양화한다. 올해 500억원 규모 스마트팜 전용 모태펀드를 조성하고, 소규모 일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으로 스마트팜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을 구축한다.
모태펀드는 전문 투자운용사가 농가의 사업성을 평가해 투자하는 방식으로 500억원 규모로 스마트 팜 전용펀드를 새로 조성, 정부지원비율을 기존 60~70%에서 80%로 확대한다. 기준수익률 및 손실충당금 면제 등 투자운용사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또 소규모 일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으로 농식품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을 구축해 창업 초기 투자 유치 희망농가와 투자자간 연결고리를 확충할 계획이다.

현재 온실과 축사 등 농업용 시설 중심인 스마트팜을 고추·인삼·마늘·대파 등 노지재배, 식물공장 등으로 적용 분야 확장을 추진한다.

농촌진흥청은 스스로 최적 환경 조절이 가능한 생육관리 소프트웨어를 품목별로 개발해 인공지능 환경 제어시스템을 구현할 계획이다.

ICT 기업과도 협업을 강화한다. KT와 SK텔레콤이 스마트팜 상설 교육장 설치, 참여 농가 연간 통신비 지원 등으로 스마트팜 확산에 힘을 모은다.

현재 11곳인 스마트팜 교육장을 올해 20곳으로 늘리고, 현장 지원센터도 8곳에서 10곳으로 확대하는 등 농가 대상 교육과 현장 지원을 강화한다.

또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을 개발하고, 핵심기기 국산화와 최적 소프트웨어 개발에 2021년까지 1천억원을 투자하는 등 R&D를 통한 스마트팜 산업 성장을 지원한다.

이렇게 해서 작년 기준 시설원예 농가 1258㏊, 축산 농가 186곳에 보급된 스마트팜을 내년까지 시설원예 농가 4000㏊, 축산 농가 730곳으로 확대하는 게 목표다.

남태헌 농식품부 창조농식품정책관은 "스마트 팜을 통해 한국 농업이 데이터 분석에 기반을 둔 정밀 농업으로서 경쟁력을 높여 수출이 증가하고 농업인들이 더욱 편리하게 일하면서 소득을 올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