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남경필 경기지사가 저출산 극복을 위해 20개 관련 부서가 참여하는 TF를 구성하는 등 도정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또한 저출산 극복 방안을 담은 ‘경기도 주거복지비전’도 곧 발표하기로 했다.
남 지사는 18일 도청 제1회의실에서 열린 ‘저출산 위기극복 야단법석 토론회’에서 “저출산 극복에 가장 중요한 것은 일자리와 주거로, 안정적인 직장과 수입이 있어야 하고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살 수 있는 집이 있어야 비로소 아이를 낳겠다는 생각을 한다.”며 “이러한 환경을 담은 저출산 정책의 표본을 만드는 게 경기도의 목표.”라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도와 인구보건복지협회 경기지회가 주관하고 EBS의 후원으로 열렸는데, 남 지사를 비롯해 △조소영 강남대 사회복지대학원 교수 △조영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개그우먼 김현숙 △김윤덕 조선일보 문화부 차장 △김선교 양평군수 △민경원 인구협회경기지회장이 패널로 참석했다.
또한 31개 시군 건강가정지원센터장, 아이러브맘카페 운영자, 경기육아나눔터 운영자 등이 자리를 함께 했다.
이날 남 지사는 저출산 극복을 위해 도가 추진 중인 ‘따복하우스’를 포함,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경기도 주거복지비전’을 조만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따복하우스는 도와 시군 등이 보유한 공유지에 짓는 경기도형 임대주택으로, 신혼부부 중소기업 근로자 대학생 등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우수한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정책이다.
남 지사는 “핵심은 싸고 편리하고 오래가고 주거단지 안에 따뜻함을 담는 것"이라며 “아이 낳는 가정, 중소기업인들이 안정적인 주거환경에서 살 수 있는 정책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실제 소득을 늘리는 정책, 값싸고 좋은 보육 환경의 아파트에서 걱정 없이 아이를 키울 수 있도록 하는 따복하우스 같은 정책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만혼화, 저출산 인식 개선 등에 대한 토론에서 조영태 서울대 교수는 “한 해 태어나는 아이가 50년 전 100만 명에서 43만 명으로 줄었는데, 더 큰 문제는 한 세대 만에 출생 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든 나라가 세계에서 우리나라 뿐이라는 것.”이라며 외국의 저출산 극복사례와 다른 우리나라만의 저출산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선교 양평군수는 다섯째 아이 1000만 원 등 출산장려금을 비롯한 양평군의 출산장려 정책을 소개하며, “일본은 2040년이 되면 지자체가 지금의 반으로 줄어든다는 분석이 있는데,우리나라도 머지않았다.”며 “가정이 안정이 되는 정책, 업그레이드 된 주거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민경원 인구보건복지협회 경기지회장은 “현실적인 경제문제가 발목을 잡으니 젊은이들이 연애하고 결혼할 생각을 못하니, 결혼하고 싶다는 인식을 갖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아이를 함께 키울 수 있는 공동체 회복도 문제.”라고 했다.
한편, 도는 도민 의견 수렴을 위해 저출산 위기극복 야단법석토론회를 향후 3회 추가로 열 계획이다
이날 토론회는 도와 인구보건복지협회 경기지회가 주관하고 EBS의 후원으로 열렸는데, 남 지사를 비롯해 △조소영 강남대 사회복지대학원 교수 △조영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개그우먼 김현숙 △김윤덕 조선일보 문화부 차장 △김선교 양평군수 △민경원 인구협회경기지회장이 패널로 참석했다.
또한 31개 시군 건강가정지원센터장, 아이러브맘카페 운영자, 경기육아나눔터 운영자 등이 자리를 함께 했다.
남 지사는 “핵심은 싸고 편리하고 오래가고 주거단지 안에 따뜻함을 담는 것"이라며 “아이 낳는 가정, 중소기업인들이 안정적인 주거환경에서 살 수 있는 정책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실제 소득을 늘리는 정책, 값싸고 좋은 보육 환경의 아파트에서 걱정 없이 아이를 키울 수 있도록 하는 따복하우스 같은 정책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만혼화, 저출산 인식 개선 등에 대한 토론에서 조영태 서울대 교수는 “한 해 태어나는 아이가 50년 전 100만 명에서 43만 명으로 줄었는데, 더 큰 문제는 한 세대 만에 출생 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든 나라가 세계에서 우리나라 뿐이라는 것.”이라며 외국의 저출산 극복사례와 다른 우리나라만의 저출산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선교 양평군수는 다섯째 아이 1000만 원 등 출산장려금을 비롯한 양평군의 출산장려 정책을 소개하며, “일본은 2040년이 되면 지자체가 지금의 반으로 줄어든다는 분석이 있는데,우리나라도 머지않았다.”며 “가정이 안정이 되는 정책, 업그레이드 된 주거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민경원 인구보건복지협회 경기지회장은 “현실적인 경제문제가 발목을 잡으니 젊은이들이 연애하고 결혼할 생각을 못하니, 결혼하고 싶다는 인식을 갖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아이를 함께 키울 수 있는 공동체 회복도 문제.”라고 했다.
한편, 도는 도민 의견 수렴을 위해 저출산 위기극복 야단법석토론회를 향후 3회 추가로 열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