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노동계 파업 급증, 1월에만 500건

2016-04-04 12:40
  • 글자크기 설정

[사진=시나웨이보]



아주경제 베이징특파원 조용성 기자 = 지난해 중국에서의 노동자 파업과 시위가 전년대비 두배 이상 급증했다.

홍콩의 노동인권단체인 중국노동회보(CLB)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2774건의 노동자 집단행동이 일어났다고 중국의 인터넷매체 '산업인(產業人)'이 4일 전했다.

2011년에는 185건에 불과했으며, 2014년에는 1379건을 기록했다. 올해 1월에만 503건이 발생해 급증추세에 놓여있다는 분석이다. 집단행동의 대부분은 임금적시지급, 회사부담 사회보험 의법납부, 노조설립 등 노동자들 스스로 권리를 지키기 위한 차원이었다. 노동자들은 최대한 정치적 구호를 자제하는 대신, 권익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산업별로는 제조업과 건설업 분야에서 전체 노동 관련 시위의 3분의 2가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20년 넘게 지속 초고속 성장의 시대를 마감한 뒤 공장과 광산을 비롯한 상당수 산업계가 임금과 복지혜택 지급을 중단하고 직원을 해고하거나 심지어 사업장 문을 닫는 등 노동 환경이 급격하게 악화됐기 때문이다. 

중국 당국은 석탄 및 철광 산업의 구조조정을 통해 총 180만 명을 재배치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로 인해 철강업과 석탄업에서의 노동자들의 단체행동이 빈발하고 있다.

1998년 진행됐던 국유기업 구조조정으로 인해 3000만명 이상이 직장을 잃었지만, 당시는 고속성장으로 인해 고용시장이 이를 충분히 감내해냈다. 하지만 지금은 성장이 둔화되면서 새로운 일자리를 찾기가 예전보다 어렵기 때문에 노동자들의 단체행동이 더욱 잦아지고 있다. 

한편 중국 노동문제 전문가인 엘리 프리드먼 코널대 연구원은 중국 노동자들의 의식 향상과 소셜미디어 확산 등을 언급하면서 "아마 이런 문제들이 시진핑을 잠들지 못하게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중국 정부 역시 과거에 비해 재정능력이 약해진 만큼, 노동계와 타협할 여지가 줄어들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