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에서는 저성장 고착화가 이뤄지고 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지난 4년간 박근혜 정부가 경제회복에 올인 했지만 성과를 거둔 정책이 전무하다는 지적도 나오는 이유다.
수출 부진에서 시작된 경제침체가 소비·투자·고용 등 모든 경제지표에 악영향을 미치는 상황에도 정부는 구조개혁에만 집착하는 모습을 되풀이하고 있다. 올해 역시 상반기 조기집행, 하반기 추경이 굳어지는 양상에 시장은 우려가 크다.
당장 내년부터 생산인구 감소, 2018년 고령사회 진입 등 한국 경제가 직면한 과제가 산적한데 올해 성장률을 끌어올리지 못하면 박근혜 정부의 저성장 출구전략은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셈이다.
올해 총선과 내년 대선 등 굵직한 정치적 이슈는 갈 길 바쁜 정부의 발목을 붙잡고 있다. 정부는 지난 해부터 구조개혁의 고삐를 당겼다. 하지만 여러 곳의 잡음에 구조개혁 진척 상황은 더디기만 하다. 서비스업 발전법 등 경제 관련 법안은 19대 국회에서 통과가 사실상 물건너갔다. 20대 국회가 가동되더라도 통과될 지는 미지수다.
이런 일련의 과정에서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은 아쉽기만 하다. 기획재정부와 주요 경제 전망 기관들은 개별소비세 인하 등 단기부양책을 내놨음에도 1분기 성장률이 0.3~0.7%대 상승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1분기 경제성장률이 부진하자 당장 올해 정부가 자신했던 3.1%도 쉽지 않다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올해 경제성장률이 3% 미만으로 떨어지면 최근 5년간 한국 경제 성장률은 2014년(3.3%)을 제외하고 계속해서 2%대에 머물게 된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현재 한국경제 흐름이 저성장 기조에서 굳어지는 부분을 인식하고 이에 맞는 재정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관행처럼 이어지는 ‘상반기 조기집행, 하반기 추경’이라는 공식도 저성장 고착화에 한 몫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1월 산업생산은 전월보다 1.2% 감소하고 소매판매는 1.4%, 설비투자는 6.0% 줄어드는 등 생산·소비·투자가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이 작년(3.1%) 수준에 머문다면 한국 경제성장률도 작년과 같은 2.6%에 그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변양규 한국경제연구원 거시연구실장은 “경제 규모가 커지면 당연히 경제성장률이 떨어지지만 한국 경제 하락 속도는 너무 빠르다”며 “내년부터는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어 노동이 추가로 투입될 가능성마저 줄어들게 된다”고 우려했다.
가계 빚 증가 속도는 신흥국 가운데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빠르다. 노후 준비가 미비하고 기업들은 투자할 곳이 마땅치 않아 현금을 들고 있는 상황에서 공급과잉 문제마저 겪는 실정이다.
변 실장은 “세계 경기가 좋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도 최근 기업들의 설비투자가 무척 부진하다”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구조개혁, 규제 완화를 꾸준하고 과감하게 추진해 투자 여건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