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행명 제약협회 이사장 "정부, R&D 허용범위 넓혀야"

2016-03-22 15:00
  • 글자크기 설정
이미지 확대
17일 서울 방배동 한국제약협회 회의실에서 이행명 한국제약협회 이사장(왼쪽)과 이경호 한국제약협회 회장이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17일 서울 방배동 한국제약협회 회의실에서 이행명 한국제약협회 이사장(왼쪽)과 이경호 한국제약협회 회장이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아주경제 김온유 기자 = 이행명 한국제약협회 이사장이 "신약 연구·개발(R&D)에 관한 정부 허용 범위가 넓어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이 이사장은 17일 서울 제약협회관에서 열린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한국 제약산업에 주어진 과제는 R&D 투자를 통한 신약 개발과 글로벌 진출"이라며 "제약산업이 한국의 미래성장 동력으로 지속 발전하고 국민신뢰를 얻으려면 산업계 노력뿐 아니라 정부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임상시험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도 요구했다. 이 이사장은 "신약 개발 비용의 80%는 임상시험비로, 이중 51.4%가 제3상 임상시험에서 사용된다"며 "임상 3상을 세액 공제 항목에 넣는 것이 실질적 투자 촉진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 공제 필요성도 촉구했다. 전문가들은 해외 선진 시스템의 국내 도입을 위해서는 최소 50억~100억원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이 이사장은 "정부가 품질관리 개선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 공제를 연장한다면 제약사들의 투자 동기가 유발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국내 신약의 약값이 너무 낮게 책정돼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신약에 대한 약값을 우대할 것을 강조했다.

제약사의 윤리경영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이 이사장은 "제약산업의 자체적인 윤리경영 실현을 위해 '경영 인증제'를 도입해 잘 지킨 제약사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정책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