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킹맘 대신 '엄마로봇' 나온다…서울대 연구팀 개발중

2016-03-13 15:10
  • 글자크기 설정

[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이정하 기자 = 바쁜 엄마를 대신해 육아를 하는 '엄마로봇'이 나온다.

13일 서울대에 따르면 장병탁 컴퓨터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워킹맘을 대신해 가정에서 아이들과 놀아주고 교육도 하는 로봇을 개발 중이다.
장병탁 연구팀은 이르면 올해 안에 이 로봇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로봇이 완성되면 가정 내에서 최초로 움직이는 인공지능 로봇이 될 전망이다.

이미 아마존의 스마트스피커 '에코'나 미국 MIT의 '지보'가 가정용으로 상용화됐지만, 스스로 움직이지 않고 기능도 제한적이다. 소프트뱅크가 개발한 '페퍼'도 상점 등 제한적 상황에서만 사용 가능한 수준이다.

이에 반해 '엄마 로봇'은 맞벌이 가정의 초등학교 1학년 아이를 가정하고 설계된다. 현재까지는 카메라 센서 등을 통해 집안 장애물을 피하는가 하면 사람과 1m 간격을 유지해 따라다닌다.

아이가 '배고프다'는 말을 하면 '주방에 가서 밥을 먹어라' 등 기초적인 대화도 가능하다. 아직 로봇으로 구현되지 않았지만, 현재 기술로 얼굴 인식과 행동 인식이 가능, 자는 아이에게 '학교에 갈 시간이니 일어나라'는 안내가 가능하다.

연구팀은 시간이 되면 공부하라고 지시하는 것까지 발전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아이의 시간표를 입력해두면 다음 날 준비물을 안내하고 챙겨주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영어 애니메이션 영화를 보고 질문과 응답을 이어가는 교육학습 프로그램은 이미 완성됐다.

문제는 로봇이 실제 엄마와 아이의 대화처럼 아이와 어느 정도 수준까지 자연스럽게 얘기를 나눌 수 있느냐는 것이다. 

자연스러운 대화 구현은 인공지능 가운데 가장 어려운 개념으로 알파고가 바둑 기보를 모아 배운 것처럼 이 로봇도 가정환경에서의 대화를 배울 수 있게 하기 위한 웹사이트를 개설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이 로봇의 상용화는 가격의 문제와 관련돼 있어 당장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연구팀은 투자를 논의하고 있어 가까운 미래에 상용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