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문은주 기자 = 미국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고용지표 등 금리 인상의 기준이 되는 경제지표가 호조세를 보이면서 금리 인상이 가능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 고용 시장 안정화...4월이나 6월 인상 유력
로브 카플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신임총재도 연내 경기 하강으로 접어들 가능성이 낮다고 평가하면서 금리 인상 가능성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유력하다고 점쳐지는 인상 시기는 4월이나 6월이다. 2월 기준 시간당 평균 임금이 25.35달러로 전월 대비 0.1% 감소함에 따라 당장 3월에는 금리 인상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2월 비농업부문 고용 증가자 수는 24만 2000명(계절 조정치)으로 나타났다. 통상 신규 고용의 기준선이 되는 20만 개를 훌쩍 뛰어넘은 것이다. 당초 시장에서는 19만~19만5000명이 될 것으로 전망했었다. 2월 실업률은 전월과 같은 4.9%였다.
2월 마지막주 실업보험청구자 전주보다 6000명 늘어난 27만 8000명(계절 조정치)이었다. 실업보험청구자 수가 다소 늘었지만 고용 시장은 안정적인 확장세를 보이고 있다는 평가다. 통상 주간 실업보험청구자 수가 30만명을 밑돌면 고용 상황이 원만하다는 의미로 통한다.
◇ ECB, BOJ 등 통화정책에 영향 받을 수도
다만 잇따라 예정돼 있는 각국 통화결정회의 결과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15~16일에 열리는 FOMC에 앞서 유럽중앙은행(ECB)에서는 9~10일 양일간 통화정책회의를 연다. 일본중앙은행(BOJ)의 통화정책회의도 FOMC보다 하루 앞선 14일로 예정돼 있다.
ECB와 BOJ 모두 세계 경제의 하향세를 염두에 두고 추가 완화 정책을 시행할 수 있다고 언급한 상태다. 연준 내에서 금리 인상 카드를 들고 있다고 해도 주요 통화정책과 동떨어지는 방향을 내놓기에는 부담이 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ECB는 공격적인 부양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워드 아처 IHS 글로벌인사이트 이코노미스트 등 대다수 전문가는 기준금리를 현행 -0.3%에서 -0.4%로 추가 인하할 수도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매달 600억 유로 규모의 채권매입 프로그램 규모를 현재보다 200억~300억 유로 더 늘릴 가능성도 점쳐진다.
장기적으로 볼 때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를 이끌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다만 ECB와 BOJ의 경기 부양 의지가 되레 연준의 통화 긴축 정책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기대감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