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본격화로 경제적 타격이 우려되는 훈춘[사진: 아주경제DB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3/06/20160306193402917342.jpg)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본격화로 경제적 타격이 우려되는 훈춘[사진: 아주경제DB ]
이미지 확대
![훈춘[사진: 아주경제 DB]](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3/06/20160306193557363726.jpg)
훈춘[사진: 아주경제 DB]
이미지 확대
![훈춘[사진: 아주경제DB]](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3/06/20160306193645891891.jpg)
훈춘[사진: 아주경제DB]
훈춘시 무역상들은 그 동안 외국업체 주문을 받아 1차 가공을 한 다음 북한에서 완성하는 위탁가공업으로 큰 이익을 봐 왔다. 하지만 앞으로는 이런 것 등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훈춘시 취안허(圈河) 통상구는 북한 원정리 통상구로 이어진다. 중국에서 북한 나선 경제특구로 가는 중요한 중국 쪽 관문이다. 두 통상구는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훈춘[사진: 아주경제 DB]](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3/06/20160306193726714039.jpg)
훈춘[사진: 아주경제 DB]
최근까지만 해도 중국에선 북ㆍ중 경협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다.
이미지 확대
![훈춘과 북한 나선지를 잇는 구 두만강 대교 바로 뒷편에 신두망강 대교가 건설 중이다.[사진=조용성 기자]](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3/06/20160306194326887099.jpg)
훈춘과 북한 나선지를 잇는 구 두만강 대교 바로 뒷편에 신두망강 대교가 건설 중이다.[사진=조용성 기자]
이어 “최근 북ㆍ중 간 분위기에 변화가 생겼으며, 조만간 북ㆍ중 경협이 다시금 활기를 띄게 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며 “양국 관계가 호전되기만 하면 전력이 송출되고 물동량이 급증할 것”이라고 밝힌바 있다.
하지만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이후 취안허 통상구는 교역차랑이 감소하면서 찬바람이 불고있다.
'연합뉴스'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지난 5일 취안허 통상구 주변에 일하는 교역차량 운전 기사들은 "(국제사회 제재 때문에)이제 조선(북한)과의 무역은 끝났다, 호시절은 옛말이다"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훈춘시내에서 의류가공업에 종사하는 한 업자는 외국업체 주문을 받아 1차가공을 거쳐 조선에서 완성하는 위탁가공업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