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2일 신보의 '보증기업의 생존특성 및 생존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01∼2010년 설립돼 보증을 이용한 21만7336개의 기업이 2014년 말까지 최장 14년간 부실이 발생했는지를 추적 관찰한 결과 이렇게 분석됐다.
신보 보증기업의 3년 생존율(부실이 발생하지 않은 기업의 비율)은 80.5%였고, 5년 생존율은 68.0%였다. 절반 이상인 50.6%의 기업이 9년간 생존했다.
신생기업이 창업한 뒤 3∼5년의 기간은 자금조달, 시장진입 등의 어려움을 겪다가 생존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 벌어져 '데스밸리(Death Valley·죽음의 계곡)'로 불린다.
신보 보증기업들 역시 이 기간에 생존율이 가장 크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7년차 이후 점차 안정화되는 패턴을 보였다.
업력 1년 미만의 기업으로 범위를 좁혀 보증 후를 추적해보면, 1년 생존율이 93.2%였으나 2년 생존율이 81.6%로 11.6%포인트 떨어졌다.
3년 생존율이 72.6%로 다시 9%포인트 낮아지고, 4년 생존율(65.4%)과 5년 생존율(59.5%)까지 하락폭이 큰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통계청의 2013년 집계에서 국내 중소기업의 3년 생존율이 41.5%이고, 5년 생존율이 30.9%를 보인 것과 비교하면 신보의 보증을 받은 기업이 '데스밸리'를 통과할 가능성이 더 컸다.
업력 1년 미만 기업의 보증 후 평균 생존기간도 7.84년으로 국내 일반 창업기업의 5.3년보다 길었다.
신보는 "대부분의 창업기업이 3∼5년 사이의 데스밸리를 극복하지 못하고 소멸하지만 보증기업은 지속적으로 생존해 지원의 효과가 입증됐다"며 "창업기업의 성장을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