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으로 전기차를 포함해 △화장품 △가공식품 △의류 △소형가전 △영유아용품 △의료기기 △의료서비스 △문화콘텐츠 △소재부품 등이 유망하다.
코트라 상하이 무역관 강민주 조사담당 과장은 화장품에 대해 “한류수혜 대표품목으로 매년 10% 이상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면서 “외국화장품이 80%를 점유하는 가운데, 한국은 지난해 수입화장품 2위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가공식품 분야는 2014년 약 2303억달러 규모로 온·오프라인 수입식품점이 확대되고 있다. 강 과장은 “한국산 라면, 간식, 음료 등이 인기이며, 건강보조식품도 연 두자릿 수 증가율을 보인다”고 전했다.
친환경 웰빙의 대표품목인 소형가전에선 녹즙기와 밥솥시장에서 한국제품이 각 1위, 2위를 차지했다.
영유아용품은 불황과 무관한 가족형 소비시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영유아식품, 식기, 세제, 의류, 교육용품, 완구 등이 인기다.
의료기기 및 서비스는 고령화로 향후 급성장이 예상된다. 의료서비스 시장의 경우 2014년 3조 위안에서 2020년 8조 위안 규모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문화콘텐츠 시장은 지난 10년간 매년 20% 성장했다. 강 과장은 “중국 자본·시장과 한국 콘텐츠로 윈윈하는 것이 관건”이라며 “공동제작 혹은 합자법인 설립을 고려하거나 한류 관련 파생상품 시장이 유망하다”고 강조했다.
소재부품은 자동차 부품, 스마트 자동화기기 및 솔루션 제품, 항공소재 및 친환경 전력 기자재 등에 중국기업의 수요가 크다. 강 과장은 “중국 자본·시장과 한국 기술·자본 등 지재권보호와 함께 중장기적인 협력모델 구축이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이같은 중국 시장을 잡기 위해선 △단계적 진출 전략 △온·오프라인 복합 마케팅 △유통채널 확보 △전략적 제휴 등의 방안이 유효해 보인다.
강 과장은 “우선 제품 특성에 맞는 맞춤지역을 선정하고, 해당시장에서 판매 성과를 기반으로 인근지역으로 확장하도록 해야 한다”며 “초기에 온라인 마켓을 통해 시장 진입 후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 오프라인 마켓으로 확장 진출하는 것도 유효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또 “품목별·지역별 현지에 영향력 있는 유통망 벤더(경소상)와 우호적인 관계를 구축해 초기 투자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며 “경소상, 대리상에 위탁하더라도 제품 판매채널 철저히 파악하고, 장기적 현지화를 위해서는 유통망을 직접 관리해야 고객접점마케팅, 운영 노하우를 습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중국기업들이 중국 내수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적극적인 지분 교환, 전략적 제휴를 하듯이, 한국기업도 제품 개발, 부품과 소재 조달, 제조, 유통, 물류, 금융, A/S 등 전 분야에서 양국 기업간 지분제휴, 라이센스 계약 등 전략적 제휴로 중국시장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상하이시는 중국 정부가 자국의 제조업, 서비스업, 무역업 환경을 유럽, 미국 등 선진화된 국제기준에 맞춰 개혁·개방하고, 궁극적으로는 홍콩을 능가하는 아시아 금융·서비스 허브로 거듭나고자 자유무역시범구를 운영하고 있다.
자유무역구는 금융서비스, 국경간 전자상거래 무역, 의료서비스, 문화콘텐츠 및 첨단과학기술산업 분야의 중점 육성을 위한 다양한 시범 정책들이 적용되고 있으며, 2013년 9월 설립된 후 약 2년 반 간의 운영 기간을 지났다.
강 과장은 “자유무역구의 설립으로 진출기업 입장에서는 금융, 통관, 전자상거래, 기업설립 분야에서 종전과 다른 정책을 활용할 기회를 얻었다는 평가”라며 하지만 “시행세칙 미비, 자유무역구 면적 협소에 따른 사무실 임차난, 영업범위 제한 상존 등으로 이익 창출에 제약이 있다는 평가도 일반적”이라고 전했다.
이어 “자유무역구는 정책 우대혜택(세수 우대 등)을 위한 시범구역이 아닌 창신(스스로 제도를 개선하고 개혁하는) 정책의 국가급 테스트 베드임을 명확히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중국 경제 발전단계 및 특성에 맞춰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개방수위, 규제완화 수위 및 정책을 결정하기 때문에 기업이 체감하는 변화나 자유무역구를 활용한 기업 이윤 확대가 단기간에 나타나기 어려운 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자유무역구는 자국 기업의 해외진출 확대(해외투자자격, 절차 간소화 등)를 위한 발판의 의미도 크기 때문에 외자기업을 타깃으로 한 정책만을 기대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 시장의 기회 뒷면엔 진출 시 감수해야 할 경영애로사항도 많다. 강 과장은 “상하이뿐 아니라 중국 지역의 모든 기업은 건강식품 및 화장품 등 위생허가 취득, 지재권 관련 상표권 출원 및 보호 애로, 통관의 불투명성으로 인한 애로, 복잡한 청산 절차 등의 불편이 있다”며 “중국내 경영비용 상승, 구인난, 중국 로컬기업의 경쟁력 상승으로 인한 경쟁력 상실, 중국 내수경기 둔화로 인한 판매유통 부진 등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