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5일 오후 6시부터 민주노총 제주본부, 전국공무직본부 제주지부 영전강분과와 6일 새벽 2시까지 8시간 동안 철야 교섭을 벌였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앞서 도교육청은 설 연휴 이전 영전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5일 오후 3시 본청 2층 교육감실에서 이석문 교육감과 제주지역 시민사회단체 대표단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연 바 있다.
이어 오후 6시부터 본청 1층 고객지원실에서 시민사회단체 대표와 도교육청 담당 실무자, 민주노총·영전강 등이 모여 교섭을 벌였다. 그러나 오랜 시간 교섭에도 영전강 제도 폐지 여부와 고용 안정 대책 등에 대해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 중앙 현관에서 시위를 하던 민주노총과 영전강은 철수했다. 그러나 도교육청 입구에서 진행 중인 천막 농성은 이어질 계획이다.
한편 영전강 제도는 이명박 정부가 ‘영어몰입교육’ 또는 ‘영어공교육 활성화’를 목적으로 2009년 9월 1350명의 영전강 1기를 선발, 전국 초·중·고에 배치하면서 시작됐다.
하지만 7년이 지난 지금 도교육청은 “영전강은 수준별 이동 수업에 따른 교수 자원이 없기 때문에 한시적으로 도입된 제도다. 이들 주당 기준 시수 22~24시간에 비해 3시간미만, 15시간미만 강사가 59%가 되고 있으며, 영어 수업의 경우 정교사, 원어민, 영어전담교사, 영어회화전문강사 등으로 운용되고 있어 불합리한 인력을 없애고 일관된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시기” 라며 “그간 교원 양성 과정과 연수 과정을 통해 교사들의 능력이 많이 향상되는 등 교육 환경 여건이 마련됐다”고 지적했다.
이에 도교육청은 지난해 말 119명의 계약기간이 만료되면 추가 신규채용을 실시하지 않고, 전국 최초로 영전강 신규채용 ‘지양’ 지침을 발표하면서 영전강 문제가 촉발됐다.
특히 도교육청이 당사자인 해당 강사들과 소통을 시도하지 않은 채 강행하면서 영전강 문제 사태를 더욱 악화시켰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