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친박(친박근혜)계 이한구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장이 공천 기준을 두고 연일 격돌하는 모양새다. 김 대표는 100% 상향식 공천을 주장하는 반면, 이 위원장은 현역 물갈이론과 단수·우선추천제 등 '전략적인 공천'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대립하고 있다.
김 대표는 5일 오전 이 위원장, 당연직 공천관리위원들과 만나 이견 조율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격론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위원장은 이에 앞서 MBC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도 "(지역구) 출마자가 많을 경우 압축할 수밖에 없다. 압축하는 과정에서 (현역의원도) 걸러낼 수 있다"면서 "상향식 공천의 결과가 국민의 뜻에 왜곡되면 안 되는 만큼 어떻게든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현역 물갈이' 대상 의원의 예로 △의정활동 평가가 좋지 않은 의원 △사회적으로 비난받는 행동을 한 의원 △특권에 안주한 의원 △유권자 신망이 부족한 의원 등을 꼽았다.
그러나 김 대표는 전략공천 없는 상향식 공천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김 대표는 이날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 위원장과) 충분한 대화를 했다"면서도 "우리 당의 룰이 있기 때문에 개인의 의사를 반영할 길이 없다"고 반박했다. 앞서 새누리당이 상향식 공천을 당론으로 채택했기 때문에 이 위원장 '개인의 뜻'이 관철되기는 어렵다는 뜻이다.
김 대표는 '현역의원 물갈이' 발언과 관련 "이 위원장이 전날 언론에서 오해할 수 있는 발언을 하기는 했지만 그렇게 문제 있는 발언은 아니라고 판단한다"며 "오늘 다 확인을 했고 뜻을 같이했다. (공천제도특위가 만든) 룰을 벗어날 수 없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어 열린 새누리당 예비후보 워크숍에서도 "새누리당은 정당민주주의를 확립했다. 그렇게 만들어진 공천룰은 그 누구도 손댈 수 없다는 것을 여러분께 분명히 말씀드린다"며 "공천관리위원회는 이미 확정돼 국민에게 공표된 국민공천제를 공정하게 관리만 할 수 있다"고 이 위원장의 역할에 선을 그었다.
앞서 이날 오전 김 대표와 가까운 김성태 새누리당 의원도 S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공천관리위원장은 경선을 관리할 뿐이지 독단적인 공천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자리가 아니다"라고 이 위원장을 비판했다. 그러면서 "저성과자나 비인기자에 대한 판단도 경선을 통해 그 지역의 국민, 유권자가 판단하고 결정할 일"이라며 "김 대표가 하겠다는 상향식 공천은 중앙당에서 전략공천을 하지 않고 그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지역활동을 열심히 한 사람들 중심으로 사실상의 상향식 공천을 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