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1/31/20160131132724622520.jpg)
경북e음 시스템 협업체계 구축. [사진제공=경상북도]
아주경제 최주호 기자 =경북도는 오는 1일 도, 시·군(23개), 출자·출연기관(31개)이 함께 사용하는 경북e음 업무시스템을 구축, 시범운영을 시작한다고 31일 밝혔다.
경북e음 시스템은 2월 시스템 안정화 기간을 두고 오는 3월부터 안동 신청사에서 정상운영할 계획으로, 기관 간 공동 사용하는 전국 최초 지자체 업무시스템이다.
특히 예전에는 외부 출자·출연기관에서 경북도로 공문서를 기관방문해 접수하거나 이메일, 우편 등으로 보내면 담당공무원은 스캔파일로 변환해 경북도 업무시스템(온-나라)에 등록하고, 기관으로 공문서를 보낼 때도 이메일, 팩스를 이용했다.
앞으로 외부 기관은 인터넷(경북e음 외부)으로 공문서를 송수신하고 경북도 공무원은 기존 업무시스템(온-나라)과 경북e음(내부) 시스템을 이용해 문서유통이 양방향으로 처리된다.
또한 문서유통뿐만 아니라 도정정책, 기관 소식 등 업무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고 신속한 업무연락을 위해 모바일(조회)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어 업무수행이 신속간편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경북e음 사용신청은 22개 출자·출연기관으로 자체 문서시스템이 없으며 연간 5000~6000건 정도 문서 유통이 이뤄진다. 출자·출연기관은 시스템을 이용해 보다 합리적이고 투명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와 시·군 담당공무원은 경북e음 통합게시판에서 업무자료를 확인할 수 있으며, 협업모델로 일자리 실적업무를 공동 관리해 실적부진 사업도 실시간 파악하는 등 도와 시·군이 함께 협업해 신속한 업무처리가 가능하다.
경북도는 신도청 시대를 맞이하면서 지난 2013년도에 도정업무량을 줄이고 업무효율은 높이는 업무시스템을 기획해 단계별로 추진했다.
2014년도에는 주요업무 진행상황 관리(도정과제), 모바일행정 서비스(자료공유, 보고, 결재), 복잡 다양한 업무시스템을 손쉽게 한곳에서 통합검색 되는 경북e음(디지털의사소통)을 구현했으며, 지난해 하반기에 출자·출연기관, 시·군이 사용하는 신규 시스템을 개발해 경북e음 시리즈를 구축·운영하게 됐다.
올해 상반기에는 시스템 품질을 높이는 시스템 안정화에 주력하고 하반기에는 경북e음 문서유통을 원하는 법인․단체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향후 민간기업, 도민까지 사용하도록 행정자치부(업무관리, 정부유통시스템 개발·보급)에 건의해 경북도뿐만 아니라 타 행정기관도 외부에서 공문서 송수신이 가능해 행정기관이 먼저 문서유통을 개방, 도민에게 다가가는 밀착 행정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김중권 도 자치행정국장은 “‘경북e음’ 시스템은 안동·예천 신도청 시대를 맞아 스마트 행정을 구현함으로써 일하는 방식을 개선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며 더욱 내실 있는 도정 추진으로 도민 맞춤 서비스 지원에 한층 가까이 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