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1/24/20160124125010146243.jpg)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제공 = 기획재정부]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새누리당 의원)이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다보스포럼에 참석해 "일본의 역사인식 문제가 해결돼야 동아시아 경제협력이 진전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획재정부와 외교부는 24일 최 전 부총리의 세계경제포럼(WEF) 연차총회(일명 다보스포럼) 참석 결과를 소개한 보도자료를 발표했다.
최 전 부총리는 지난 20∼23일 포럼 참석 기간에 창조경제, 구조개혁 등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을 알리는 데 주력하면서 각종 현안과 관련한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냈다.
그간 일본의 역사인식 때문에 동아시아의 경제협력체제가 제대로 만들어지지 못했다고 지적한 것이다.
최 전 부총리는 또 앞으로 중국 경제의 향방은 한국·중국·일본 분업구조의 변화 추세에 중국이 성공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지 여부에 달렸다고 진단했다.
그간 세 나라는 한국과 일본이 높은 기술력을 토대로 생산한 부품이나 소재를 중국에 수출하면 중국이 조립해 미국, 유럽에 수출하는 제조업 분업구조를 유지해 왔다.
이런 구조로 중국 경제가 급성장했지만, 세계경제의 저성장이라는 새로운 환경을 맞아 분업구조가 깨지고 있기 때문에 바뀐 환경에 잘 적응해야 경제 경착륙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최 부총리는 중국 경제의 변동성 확대로 국제금융시장이 불안정해졌기 때문에 국제공조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최 전 부총리는 북한에 대한 발언도 여러 차례 이어나갔다.
세션 패널로 참석해서는 대북정책의 실효성을 재검토해 최적의 접근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만나서는 최근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이밖에 최 전 부총리는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주최한 '한국의 밤' 행사에 참석해 창조경제혁신센터 구축 등 창조경제 추진 성과를 설명하고, 문화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는 정부 정책을 소개했다.
아룬 제이틀리 인도 재무장관을 만난 자리에선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의 조속한 개선 필요성과 한국기업의 대(對) 인도 투자증진 방안을 협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