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1/24/20160124110236584871.jpg)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로하니 이란 대통령과 담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CNTV 캡쳐]
아주경제 베이징특파원 조용성 기자 = 이란을 국빈방문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10년안에 이란과의 교역규모를 연간 6000억달러로 늘리겠다"고 선포했다. 이는 2014년 이란과 중국의 교역액 520억 달러의 약 11배다.
시진핑 주석은 23일(현지시간) 테헤란에서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과 회담한 뒤 양국간 포괄적인 전략적 협력관계를 담은 공동성명을 발표했다고 신화통신이 24일 전했다. 두 정상은 공동성명에서 "양국은 국제 현안과 중동 문제, 양국 간 관계 등 모든 사안에서 포괄적이고 전략적으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고 선언했다. 시 주석은 특히 "이란은 중동에서 주요 동반자"라면서 "그 중에서도 에너지 시장에서 이란과 전면적 협력을 바란다"고 말했다.
시 주석의 이란 방문에 맞춰 양국 정부는 경제, 산업, 문화, 법률 등 분야에서 앞으로 25년간 협력하는 내용의 17개 협약을 맺었다. 이 중에는 중국의 정책 기조인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건설)'와 관련된 내용도 포함됐다. 아울러 이란의 상하이협력기구(SCO) 회원국 가입 신청을 중국이 지지한다는 내용도 공동성명에 담겼다. 현재 SCO의 옵서버(참관국) 자격인 이란은 지난해 회원국으로 가입하려고 신청했으나 기존 회원국들 간 이견으로 무산됐다.
시 주석은 테헤란 공항에서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의 영접을 받았고, 23일 오전 테헤란 북부 대통령궁에서 로하니 대통령과 만나 의장대를 사열했다. 시 주석은 로하니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 이어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와도 면담했다. 시 주석은 서방의 대이란 제재가 16일 해제된 뒤 이란을 찾은 첫 외국 정상이 됐다. 중국 최고지도자가 이란을 공식 방문하기는 14년 만이다. 지난 19일부터 중동 방문을 시작한 시 주석은 23일 밤 테헤란에서 귀국길에 올랐다.
한편 중국이 중동내 분쟁해결사 역할은 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미국 버크넬대학 주즈췬(朱志群) 교수는 "중국이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간 불화 등 지역 분쟁을 해결하는 적극적인 중재자 역할을 하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의 주요 목표는 자국 발전을 뒷받침할 경제 협력 방안을 찾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차이나 폴리시의 벤자민 허스코비치 연구원 역시 "중국이 중동 지역의 종파 간 갈등에 너무 많이 얽히는 것을 피하려고 애쓸 것"이라며 "현재 미국과 러시아, 영국, 프랑스가 맡고 있는 북아프리카·중동 치안 임무를 중국이 맡을 것으로 기대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