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글로벌 기업 시스코와 ‘사물인터넷 솔루션 개발’ 업무협약 체결

2016-01-24 09:00
  • 글자크기 설정

[SK텔레콤이 세계 최대 네트워크 설비 제조·판매 업체인 시스코와 신규 사물인터넷 솔루션 개발을 위한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사진은 지난 22일 오후 SK텔레콤 을지로 본사에서 열린 체결식에 참석한 최진성 SK텔레콤 종합기술원장(왼쪽)과 스콧 푸오폴로 시스코 글로벌 통신사업본부 부사장. 사진제공-SK텔레콤]


아주경제 정광연 기자 =SK텔레콤(대표 장동현)이 세계 최대 네트워크 설비 제조·판매 업체인 미국 시스코(CEO 척 로빈스)와 신규 IoT(사물인터넷) 솔루션 개발을 위한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지난 22일 오후 SK텔레콤 을지로 본사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최진성 SK텔레콤 종합기술원장(CTO)과 스콧 푸오폴로 시스코 글로벌 통신사업본부 부사장이 참석했다.
양사는 이 자리에서 SK텔레콤의 통합 IoT 플랫폼 ‘ThingPlug’와 시스코의 IoT 인프라 운용 기술인 ‘포그컴퓨팅(Fog Computing)’의 장점을 결합해 혁식적인 IoT 솔루션을 개발하기로 합의했다.

SK텔레콤이 지난 6월 국내 이동통신사 최초로 오픈한 ThingPlug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과 쉽게 연동이 가능한 개방형 플랫폼이다.

포그컴퓨팅은 각종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생성된 지점에서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명령을 내려 스스로 작동할 수 있게 도와주는 시스코의 기술이다.

양사는 ThingPlug에 포그컴퓨팅이 결합된 신규 IoT 솔루션 개발에 나선다. IoT 시스템의 핵심 구성요소인 서버 플랫폼과 게이트웨이 장비는 각각 SK텔레콤과 시스코가 제공하고 이 기반 위에 작동할 앱과 센서를 공동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5G가 상용화 될 2020년에는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사물의 수가 500억개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고속도로, 공항, 공사현장 등 넓은 공간에서 다수의 사물이 오가는 곳에서는 극심한 데이터 트래픽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두 기업은 해당 솔루션이 적용되면 사물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원거리에 위치한 클라우드 서버로 보내지 않고 데이터 발생 지점에서 분석하고 상황에 맞게 처리할 수 있어 중앙으로 집중되던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최진성 SK텔레콤 종합기술원장은 “시스코와 같은 역량 있는 파트너와의 제휴는 기술 리더십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향후 다양한 글로벌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SK 텔레콤의 기술 경쟁력을 세계 무대에 입증하고 국내외 시장을 확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