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사회적기업의 자생력에 가장 큰 애로사항인 판로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해 ‘전주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기본조례’에 사회적경제제품 우선구매 지원 등의 내용을 포함시키고, 지난해부터 사회적경제제품 우선 구매 공시제를 시행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1/08/20160108112410875393.jpg)
▲전주시청사 전경
시는 지난해 구매목표율을 구매총액의 20%로 정하고 사회적경제제품 구매를 위해 각 동 주민센터를 포함한 전 부서 및 산하기관 등을 독려해온 결과 총 40억5,900만원의 구매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전주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기본조례’ 제정 전 실적인 30억800만원과 비교하면 공공구매 실적이 10억5,100만원 증가한 것이다.
시는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올해는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의 구매목표율을 구매총액의 25%로 늘릴 계획이다. , 공공구매 담당자 교육 등을 통해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을 전환시키고, 연말 실적 평가를 통해 우수 부서를 선정해 시상하는 등 공공구매 참여 분위기를 지속적으로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전주시 사회적경제지원단 관계자는 “사회적경제기업은 기본적인 영리활동은 물론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및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착한 기업’”이라며 “사회적기업들이 자립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에서 우선 구매에 적극 나서는 것이 중요한 만큼 공공기관에서부터 관심을 갖고 공공구매에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