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대책없는 대외협상력과 사업계획 도마에 올라

2015-11-20 11:49
  • 글자크기 설정

인천시 무능덕에 혈세2200억여원 낭비될 위기

아주경제 박흥서 기자= 인천시가 인천도시철도1호선 검단신도시 연장사업과 관련, 허술한 대외협상력과 근시안적 사업계획이 도마에 올랐다.

대책 없는 협상 탓에 시민의 혈세 수천억원이 투입돼야 하는 궁지에 몰리게 됐기 때문이다.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인천도시철도1호선 검단신도시 연장사업 공동사업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사업비 분담과 관련, 애초 허술한 협상 결과 2200억여원의 공사비를 추가로 부담해야 할 상황에 처했다.

1단계(계양역~검단신도시 7.83㎞, 2023년 완공 예정), 2단계(검단신도시~캠퍼스타운 2,24㎞, 2028년 완공 예정)로 나뉘어 진행되는 이 공사에서 인천시는 1단계는 5000억원을 초과하는 나머지 공사비를 부담하고 2단계 사업은 사업비 전부를 부담하기로 LH와 합의했다.

인천시는 당시 1단계 5500억원, 2단계 2890억원의 사업비가 들어갈 것으로 예상했었다.

하지만 인천시와 LH가 지하철 건설문제로 이견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인천시가 도시철도기본계획 변경용역을 진행하면서 1단계는 1325억원, 2단계는920억원 등 총 2245억원의 사업비가 추가될 상황이다.

이렇게 되자 LH는 당초 약속대로 5000억원만 부담하고 나머지는 인천시가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결국 인천시의 근시안적 사업계획 설정과 대책 없는 대외협상 때문에 2200억여원의 혈세를 고스란히 떠안게 된 실정이다.

이에 대해 인천시 관계자는 “관계기관과의 협상에 난항을 거듭하고 있어 우선 1단계 사업은 해당 도로사업의 공사낙찰 차액 등 잉여재원을 활용해 증액된 사업비를 충당하고, 2단계는 국비 확보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시민단체들은 처음부터 제대로 된 계획과 협상력을 발휘했어야지 이 같은 궁여지책으로 수천억원 규모의 사업을 진행하려 하는 인천시의 무능에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