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영관 기자 = 1만2000가구 규모 서울 압구정동 재건축의 기부채납의 방안으로 현대아파트 자리에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 복합문화시설이 검토된다. 잠실과 이촌, 반포 등 한강변 아파트 재건축 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아파트와 한강을 잇는 덮개공원이나 브릿지를 조성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또 여의도, 용산, 잠실 일부지역을 제외하고 한강변에 주거용 건물을 지을 경우 35층 이하로 층수를 제한하는 원칙이 유지되고, 망원, 합정, 한남 등 배후산이 존재하는 지역은 개발했을 때 조망권이 확보 되도록 경관시뮬레이션을 반드시 거치도록 한다.
이번 계획은 한강과 한강변 제방 밖(양안) 0.5~1㎞ 범위(면적 82㎢, 서울시 총면적의 13.5%)를 대상으로 한다. 시는 이를 7대 수변활동권역(△강서~난지 △합정~당산 △여의도~용산 △반포~한남 △압구정~성수 △영동·잠실~자양 △암사~광장)으로 나누고 27개 세부구역으로 세분화해 집중 관리하기로 했다.
시는 크게 △자연성 △토지이용 △접근성 △도시경관 등 4대 부문 12개 관리원칙을 세웠다. 생태복원과 한강 접근성 강화, 수변활동 공간 확충, 한강변 조망기회 확대 등 공공성 강화가 주 내용이다.
계획안에 따르면 아파트 일색이던 한강변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 수변공공용지를 대폭 확충, 여기에 가족여가, 문화시설 등이 조성된다. 수변공공용지는 △석유비축기지 등 국공유지 28개소 99만㎡ △반포1단지 재건축 등 정비사업 공공기여 33개소 25만㎡ △당인리발전소 등 민간 저이용부지 14개소 14만㎡ 등에서 확보키로 했다.
이에 따라 한강변 27개 구역을 대표할 수 있는 랜드마크급 건축물이나 수변공원 등이 조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와 강남구청 등에 따르면 서울 압구정 재건축의 경우 현대아파트 자리에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 디자인을 특화한 복합문화시설이 검토되고 있다.
시는 또한 이촌, 반포, 압구정 아파트 지구 등 한강변 인접한 아파트지구 정비사업 추진과 연계해 한강변 간선도로 상부 덮개공원 및 브릿지 조성을 점진적으로 검토, 추진하기로 했다. 사유화된 한강변의 일부를 공공으로 재편, 시민이용 공간으로 탈바꿈하자는 취지다.
시는 서울도시기본계획에 따라 여의도와 용산, 잠실 일부지역 등 도심과 광역중심지는 복합건물 신축시 51층 이상이 가능하며, 나머지 지역은 현재 한강 스카이라인 원칙인 35층 이하를 유지한다는 점을 재차 확인했다.
아울러 한강변 개발사업 추진 시 북한산, 남산, 관악산 등 주요 산이 위치해 열린 경관이 필요한 망원, 합정, 서강마포, 한남 등 지역을 '주요 산 자연조망 관리지역'으로 구분하고, 각종 개발사업 추진시 배후 산이 잘 보이는지 경관시뮬레이션을 거치기로 했다.
예를 들어 망원지구에서는 선유도전망대를 기준점으로 해서 북한산, 안산이 잘 보이도록 해야 하며, 반포지구의 경우 반포대교 북단을 기준점으로 관악산과 현충원이 잘 보이는지 살핀다. 시 관계자는 "위원회 심의를 통해 열린경관 형성의 적정성 여부를 판단해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한강둔치 면적의 11.7% 수준인 104만7000㎡에 한강숲을 조성하고, 호안 22.4㎞를 자연형으로 복원하는 한편, 국내·외 관광객을 위한 탐방 프로그램을 확대 개발·운영하기로 했다. 한강변 정자 3개소(제천정, 압구정, 천일정)와 한강변 나루터(마포나루터, 삼전나루, 둑도나루 등)를 복원하고, 한강변 전체를 '역사문화둘레길'로 연결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밖에 한강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해 양원, 이촌, 반포, 자양지역에 버스접근 나들목을 확충하고, 보행접근 나들목 24개소를 추가조성키로 했다. 광진교를 보행전용교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여의도~잠실 간 수륙양용버스 연계, 합정~여의도~선유도, 반포~이촌~노들섬을 수상교통으로 잇는 방안도 검토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