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부총리는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경질론이 나오는 데 대한 질문을 받고 “최근에 우려하시고, 또 열심히 보다 더 일을 해야 한다는 교육부에 대한 채찍, 또 장관에 대한 걱정이 있는 것을 잘 안다”며 “무겁게 겸허히 받아들이고 더욱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황 부총리는 “지금 여러 가지 힘들고 많은 일이 산적해 있기 때문에 이런 때 일수록 당과 정부는 함께 힘을 모아서 최선을 다 하고 서로 격려하면서 국민들이 지켜보시는 가운데 바람직한 올바른 교과서 만드는 일에 최선을 다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일각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로 역사왜곡이나 미화가 있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지만, 그런 교과서는 절대로 있을 수 없다”며 “집필되지도 않은 교과서, 일어나지도 않을 일을 두고 더 이상의 왜곡과 정쟁은 있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 부총리는 “집필진 공개 여부는 본인의 의사도 존중해야겠고, 자유롭고 충실한 교과서를 쓰는 데 어느 것이 도움이 되는지를 비교하면서 편찬위에서 심도 있게 논의하고 있다”며 "집필진 구성은 잘 진행되는 것으로 듣고는 있다”고 했다.
황 부총리는 교과서 국정화 TF와 관련해서는 “9월 말부터 TF를 구성해 체계적으로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준비해 왔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해당 근무인력은 교육부의 역사교육지원팀 업무증가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추가로 지원·보강한 것으로 지난 8일 확인국감 대비와 구분고시 행정예고 발표 준비를 위해 5일부터 순차적으로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행정예고기간이라 하더라도 추진정책에 대한 장·단점을 연구·분석하고, 정책방향에 대해 알리는 것은 정부의 당연한 임무”라며 “열심히 일하고 있는 공무원들을 불법적인 일을 하고 있듯이 범죄로 몰아가는 비정상적인 행태는 교육부로서는 절대 용납할 수가 없다”고 강조했다.
황 부총리는 TF에 대해 “김동원 학교정책실장이 구성했고 사후 보고를 받았다”며 “교육부의 업무가 늘어나고 줄 때에는 대개 실장 중심으로 움직인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새누리당에만 제공된 교과서 관련 자료는 기존의 역사교육지원팀이 작성했다고 밝혔다.
김관복 교육부 기조실장은 TF에 대해 “기존의 역사교육지원팀에 확장개편팀에는 기획팀, 상황관리, 홍보팀이 있어 팀장만으로는 어려워 오석환 국장을 팀을 관할하는 국장급으로 했고 공식 명칭은 향후 구분고시가 확정되면 관계부처와 협의해 공식 역사교육 추진 조직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