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전국 기초단체장과 기초·광역의원 24명을 선출하는 재·보궐선거가 28일 치러진다.
이번 재보선은 국회의원 선거가 빠졌지만, 선거 지역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과 영·호남, 충청, 강원 등 전국에 고루 퍼져 있고 내년 20대 총선을 앞두고 마지막으로 치러지는 선거인만큼 그 결과가 바닥 민심의 풍향계가 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10·28 재보선'을 하루 앞둔 27일 여야는 '지역 일꾼'을 뽑는 이번 선거를 국정화 정국 속 여론의 심판이라거나 총선 전초전으로 보지는 않는다고 했다.
유의동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이번 선거를 국정화 논의와 연결되는 선거로 보기엔 무리가 있다"며 "지역 정서를 읽는 바로미터 역할을 일정 부분 하겠지만, 전국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선거가 아니기 때문에 정국 방향과 연결 짓기엔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선거에서는 국회의원을 1명도 뽑지 않는다. 기초단체장 선거는 경남 고성군수 선거가 유일하며, 광역의원은 서울 1곳과 부산 2곳, 전남 1곳을 비롯해 5개 시·도에서 9명을, 기초의원은 서울(1곳)과 부산(3곳), 전남(2곳), 충북(1곳)을 포함해 10개 시·도에서 14명을 선출한다.
유권자의 관심도 저조한 상황이다. 지난 23일부터 이틀간 실시된 사전투표 투표율은 전국 평균 3.58%에 불과했다. 이는 올해 상반기 치러졌던 4·29 재·보궐선거 전체 평균 사전투표율인 6.74%의 절반 수준에 해당한다.
야당 내부에서도 선거 결과에 따른 정치적 의미를 과소평가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김영록 새정치민주연합 수석대변인은 "지방선거도 중요한 의미가 있지만 승패를 따져 의미를 부여할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며 "우리 당은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막는 어려운 과제를 안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 부분(지방선거)도 중요하지만 국정화 저지에 당력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이번 재보선 결과로 민심 동향을 해석하기엔 어렵다고 보는 의견이 많다.
이택수 리얼미터 대표는 이날 아주경제와의 통화에서 "국회의원과 광역단체장 선거가 빠져있고, 그야말로 풀뿌리 민주주의 재보선이라서 큰 의미를 부여하긴 어렵다"며 "선거 결과가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라든지 대통령이나 정당 지지율에 영향을 미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계완 정치평론가도 "아직 국정화 정국 속 여론의 향배가 어느 쪽으로 갔다고 단정 짓기가 이르기 때문에 이번 선거 결과로 국정화 정국을 평가하기엔 무리"라며 "이번 재보선이 국정화를 주도한 정권을 심판하는 성격이라고 규정하기엔 성급한 측면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다만 "경남 고성군수 선거의 경우 새누리당 텃밭에서 치러지는 만큼 새누리당 후보가 완승할지, 어렵게 이길지 또는 패배할지가 경남 지역에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지지와 현 정부에 대한 평가가 어떤지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