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10/22/20151022153748126119.jpg)
경북도가 추진하는 대구권 광역철도사업 구상도. [사진제공=경상북도]
아주경제 최주호 기자= 경북도는 구미·칠곡·경산 등 경북남부권지역과 대구시를 하나의 생활경제권역으로 연결하기 위해 지난 수년간 추진해온 대구권 광역철도사업이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 추진된다고 25일 밝혔다.
경부고속철도 완전개통에 따라 기존 경부선의 여유용량을 활용한 저비용·고효율사업인 대구권 광역철도사업(구미~왜관~대구~경산 61.85㎞)이 지난 7월 20일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올해부터 ‘타당성 평가 및 기본계획수립’을 시작으로 내년에는 ‘기본 및 실시설계’를 마무리하고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총사업비 1197억원이 들어가는 이 사업은 기존 5개소(구미·왜관·대구·동대구·경산), 신설 4개소(사곡·왜관공단·서대구·원대) 등 총 9개소의 정거장을 갖추고 출퇴근시간 15분, 평시 20분 간격으로 매일 오전 5시부터 19시간 동안 일일 61회(편도) 운행할 계획이며, 구미에서 경산까지 43분이 소요된다.
도는 지난 2013년 6월 지방비 일부를 부담하는 광역철도사업으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했으며, 그 결과 같은 해 11월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선정됐고 지난 7월 20일 통과됐다.
대구권 광역철도망사업 구간을 살펴보면, 구미·칠곡·대구·경산의 인구는 2012년 기준 328만명(대구 253만명, 구미 42만명, 경산 25만명, 칠곡 12만명)이며, 사업체 32만여개(대구 26만8196개, 구미 2만7862개, 경산 1만5714개, 칠곡 8896개)에 116만명(대구 81만명, 구미 19만명, 경산 11만명, 칠곡 5만명)의 근로자가 종사하는 광역경제권을 형성하고 있다.
일평균 60만명 이상이 개인 승용차를 이용해 고속도로를 통행하는 일일생활권역이기도 하다. 하지만 대중교통수송 분담률은 서울시 56.7%, 수도권 45.9%에 비해 대구권은 26.8%로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구권 광역철도망사업이 추진되면, 광역교통체계가 승용차 중심에서 철도로 전환돼 철도 서비스 낙후지역에 대한 교통 불편 해소는 물론, 출퇴근 교통난 해소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북의 광역철도망 구축사업이 완료되면 구미-칠곡-대구-경산이 광역경제권을 형성하면서 남부권역 330만 주민들에게 새로운 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대구도시철도 1·2·3호선과 연계된 환승체계가 구축되면 그 효과는 더욱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신규역사 신설이 예상되는 사곡역, 왜관공단역, 서대구역, 원대역 주변에는 토지이용 계획 수립 시 역세권 개발 가능성도 커져 침체된 주변 상가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업은 대구·경북의 상생발전을 위해 도와 대구시가 함께 협력해 추진해야 할 사업으로, 장기적으로는 김천~구미(22.9㎞)와 경산~청도~밀양(44.7㎞)을 연결해 지역발전 및 경제 활성화와 국가경쟁력 강화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밖에 대구시와 손잡고 추진하고 있는 광역철도사업으로는 대구도시철도 2호선 영남대 연장(3.3㎞)에 이어 대구도시철도 1호선 하양연장 사업도 기본 및 실시설계 중에 있어 내년이면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아울러 현재 사전 예비타당성조사 용역 중인 영남대~진량~대구대~하양 간(1+2호선 11.4㎞) 연결과 범물~압량(2+3호선, 13.2㎞) 연결 등 대구도시철도 1·2·3호선 연결사업도 대구시와 손잡고 계속 추진할 계획이다.
김관용 도지사는 “대구권 광역철도사업은 경상북도 청사가 안동으로 이전하게 됨에 따라 그동안 소외돼 왔던 인근 시·군(구미, 칠곡, 경산 등)과 대구시와의 상생을 위해서라도 꼭 필요한 사업”이라며 “지속적인 광역철도망 구축으로 머지않은 장래에 우리 도에서도 ‘도시순환 철도 및 고속철도 시대’가 열리게 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이번 사업의 조기 준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임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