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10/15/20151015084527270922.jpg)
롯데케미칼 우즈벡 가스 화학단지 전경.[롯데케미칼 제공]
롯데케미칼은 15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우즈베키스탄 가스전 화학단지 건설(이하 수르길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완공과 롯데케미칼 신규사업 현황에 관한 설명회를 열었다.
이날 허수영 롯데케미칼 사장은 한국과 우즈벡 양국 정부 협력을 통해 민관 컨소시엄이 이뤄낸 사업 성과를 직접 설명하고, 한국 석유화학기업 최초로 유라시아 최대 규모 석유화학 공장을 완공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2006년 양국 정상간 전략적 파트너십 MOU 체결로 시작된 수르길 프로젝트는, 2007년 한국가스공사, 롯데케미칼, GS E&R등이 한국 컨소시엄을 구성해 우즈벡 국영석유가스회사인 우즈벡 석유가스공사와 50:50의 지분으로 합작투자회사를 설립하고 수르길 가스전 개발, 개발된 가스 판매 및 HDPE, PP 생산을 위한 가스화학단지를 건설해 직접 경영하는 사업이다. 이 생산시설은 이번 달 기계적 건설이 완공돼 현재 시험생산 중이며, 2016년 1월 상업생산을 눈앞에 두어 10년만에 그 결실을 보게 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한국 정부의 지원 속에 민관 컨소시엄 각 주체들이 핵심역량을 집중해 시너지를 극대화함으로써 민관 합작사업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만들었다. 정부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정책의 일환으로 우즈벡 정부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국가간 대규모 생산기지 건설 사업이 성사될 수 있도록 신뢰기반을 구축함으로써 우리나라 석유화학 기업의 우즈벡 진출에 힘을 보탰다.
특히 2014년 6월 박근혜 대통령의 우즈벡 국빈 방문시 발표한 양국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 심화 및 발전을 위한 공동 선언’ 이후 양국간의 협력이 더욱 공고해져 가스전 화학단지 건설 사업 진행이 더욱 속도를 낼 수 있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롯데케미칼은 국내 엔지니어링사들과 손잡고 석유화학의 불모지에 가깝던 유라시아 대륙에 국내 최초로 대규모 석유화학 공장을 건설함으로써 유럽, 중앙 아시아뿐만 아니라 러시아, 북아프리카까지 시장을 확장하게 됐다.
사막의 높은 기온과 미세먼지 등으로 인해 ‘지옥의 첫 관문’이라고 할 정도로 열악한 현장 여건 속에서 국내 엔지니어링사들은 완벽한 공정을 진행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함으로써 한국 건설 기술의 위상을 높였다. 특히 우즈벡은 건국 이후 최초로 대규모 에너지 산업 시설(약 30만평 규모)을 보유하게 되어 국가 기간산업 발전의 전기를 마련했다.
이번 프로젝트의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공장은 롯데케미칼의 순수 기술력으로 건설되어, 석유화학 기술의 해외 수출이라는 의미도 있다. 또 천연가스 채굴부터 기액분리와 수송, 가스 분리, 에탄 크래킹, PE·PP 석유화학 제품생산에 이르기까지 완전 수직계열화도 이뤘다.
롯데케미칼 허수영 사장은 “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2013년 신동빈 회장이 직접 우즈벡 정부를 설득해 통관과 교통인프라 부분에서 협조를 얻어 내며 사업에 박차를 가할 수 있었다”면서 “우즈벡 사업의 성공을 발판으로 현재 진행 중인 국내외 신규사업도 차질 없이 진행해 글로벌 석유화학회사로의 큰 도약을 이룰 것을 약속한다”고 말했다.
롯데케미칼은 석유화학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우위와 지속 성장을 위해 △저가원료의 안정적 확보를 통한 수익성 제고 △고부가 산업의 확장을 중점 사업전략 방향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번 우즈벡 수르길 프로젝트 완공과 더불어, 2018년 상업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는 미국 액시올(Axiall)과의 합작 사업으로 북미 셰일 가스를 기반으로 한 에탄크래커 사업에도 진출했다. 이는 기존 납사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저가의 가스 원료를 사용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