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교육감은 12일 오전 확대간부회의에서 “역사 교육에서 중요한 3대 포인트는 ‘역사적 사실’, 역사적 사실을 통해 확인되는 ‘역사적 진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개인의 역사관에 따라 내리는 ‘평가’라고 할 수 있다”면서 “이 가운데 평가 부분은 국가건 교육자건 누구도 독점할 수 있는게 아니고, 누구든지, 심지어 아이들도 평가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1392년 이성계의 조선 건국, 1453년 수양대군이 일으킨 계유정난을 예로 든 김 교육감은 “당시 위화도회군과 계유정난은 역사적 사실이지만 이에 대한 평가는 각각 다를 수 있다”면서 “국가가, 더 솔직하게는 정권이 역사를 독점화하는 것은 굉장히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김 교육감은 “역사교과서를 국정화 하게 되면 말이 국정화지 사실은 정권교과서를 만드는 것”이라며 “이것이야말로 역사교과서에 대한 분서갱유 아니겠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역사교과서 국정화가 확정되면 정권이 바뀔 때마다 국정교과서라는 타이틀은 같지만 그 내용은 완벽하게 다른 국정교과서가 등장할 것”이라고 전망한 뒤, “이 혼란을 어떻게 감당하고 누가 책임질거냐”고 물었다.
김 교육감은 “이미 여러 차례 밝혔듯 역사교과서 국정화가 현실로 확정되면 바로 전북교육청 차원의 대응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며, 교과서 발행에 관해 교육감이 가지고 있는 합법적 권한을 최대한 행사할 것임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