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10/11/20151011015636101234.jpg)
아주경제 정광연 기자 =SK텔레콤의 영업정지 일주일 해제 이후 맞은 첫 주말이 이통3사간의 불법 지원금 신경전으로 얼룩졌다. 확실한 증거나 물증없이 일단 경쟁사 책임으로 몰아 가고 있어 오히려 시장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11일 이통업계에 따르면 영업정지 일주일에 돌입한 지난 1일부터 7일까지 총 4만3000여명의 가입자 순감을 기록한 SK텔레콤이 영업정지 해제 직후인 8일 하루동안 3300여명을 회복한 것으로 확인됐다. MNP(번호이동) 규모도 영업정지 일평균 1만737건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늘어난 2만345건 수준이다.
영업정지 일주일 내내 비교적 무난했던 시장 상황이 이처럼 눈에 띄는 변화를 겪은 가장 큰 요인은 LG전자의 프리미엄 스마트폰인 ‘V10’의 영향 때문이다. V10 출고가는 79만9700원으로 최대 28만5000원(LG유플러스)에 달하는 지원금을 받을 경우 50만원대에 구입이 가능하다.
문제는 V10 출시 이후 시장이 조금씩 과열되자 이를 놓고 이통3사간의 ‘남탓’ 경쟁이 다시 한번 재현되고 있다는 점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영업정지 해제 직후 가입자 순증이 늘어나고 번호이동 전체가 증가한 것은 대기수요 때문이지 경쟁사들이 주장하는 불법 지원금 살포와는 전혀 무관하다”고 반박했다.
KT와 LG유플러스도 비슷한 주장이다. KT측은 “우리가 불법 지원금을 뿌렸으면 가입자 순감(1386명)이 발생했겠는가”라고 반문한 뒤 “있지도 않은 불법 지원금을 운운하는 건 경쟁사를 흠집내기 위한 악의적인 꼼수”라며 강한 불쾌감을 나타냈다.
LG유플러스 관계자 역시 “출처도 알수 없는 자료까지 흘리며 자사를 매도하고 있다. 상식적으로 말도 안돼는 주장이 고객들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반발했다.
이처럼 이통3사가 불법 지원금을 놓고 경쟁적으로 날선 여론몰이에 나서면서 유통현장과 고객들의 혼란이 가중되는 모습이다.
신도림테크노마트에 위치한 한 판매점 직원은 “온라인에서 봤다며 공짜폰에 육박하는 지원금을 요구하는 고객들이 적지 않다”며 “지원금을 지켜도, 안 지켜도 우리만 욕을 넘는 상황이 힘들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런 신경전으로 인해 고객들 역시 단말기 구입 과정에서 불편을 느끼고 있다”며 “공정경쟁을 위한 이통3사의 자구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11일 이통업계에 따르면 영업정지 일주일에 돌입한 지난 1일부터 7일까지 총 4만3000여명의 가입자 순감을 기록한 SK텔레콤이 영업정지 해제 직후인 8일 하루동안 3300여명을 회복한 것으로 확인됐다. MNP(번호이동) 규모도 영업정지 일평균 1만737건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늘어난 2만345건 수준이다.
영업정지 일주일 내내 비교적 무난했던 시장 상황이 이처럼 눈에 띄는 변화를 겪은 가장 큰 요인은 LG전자의 프리미엄 스마트폰인 ‘V10’의 영향 때문이다. V10 출고가는 79만9700원으로 최대 28만5000원(LG유플러스)에 달하는 지원금을 받을 경우 50만원대에 구입이 가능하다.
문제는 V10 출시 이후 시장이 조금씩 과열되자 이를 놓고 이통3사간의 ‘남탓’ 경쟁이 다시 한번 재현되고 있다는 점이다.
KT와 LG유플러스도 비슷한 주장이다. KT측은 “우리가 불법 지원금을 뿌렸으면 가입자 순감(1386명)이 발생했겠는가”라고 반문한 뒤 “있지도 않은 불법 지원금을 운운하는 건 경쟁사를 흠집내기 위한 악의적인 꼼수”라며 강한 불쾌감을 나타냈다.
LG유플러스 관계자 역시 “출처도 알수 없는 자료까지 흘리며 자사를 매도하고 있다. 상식적으로 말도 안돼는 주장이 고객들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반발했다.
이처럼 이통3사가 불법 지원금을 놓고 경쟁적으로 날선 여론몰이에 나서면서 유통현장과 고객들의 혼란이 가중되는 모습이다.
신도림테크노마트에 위치한 한 판매점 직원은 “온라인에서 봤다며 공짜폰에 육박하는 지원금을 요구하는 고객들이 적지 않다”며 “지원금을 지켜도, 안 지켜도 우리만 욕을 넘는 상황이 힘들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런 신경전으로 인해 고객들 역시 단말기 구입 과정에서 불편을 느끼고 있다”며 “공정경쟁을 위한 이통3사의 자구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