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10/07/20151007162420862874.jpg)
[사진제공=정성호 의원실 ]
아주경제 윤정훈 기자 = 현대·기아차가 과거 배출가스와 관련해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성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7일 보도자료에서 2012년 8월 현대차와 기아차가 급가속시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전자제어장치(ECU) 프로그래밍을 세팅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현대·기아차는 “ECU 프로그래밍을 변경한 것은 환경부의 시정권고(리콜 및 양산적용)에 따라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것이지 타사 사례와 같이 주행 중 배출가스 순환장치를 임의 조작한 것이 아니다”고 공식적으로 반박했다.
이어 “당시 부과된 과징금은 시정권고에 따라 배출가스를 줄이기 위한 ECU 개선 내용을 신고하지 않아 행정절차 미숙으로 과징금이 부과된 것이고, 이후 신고 절차를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또 정 의원은 폭스바겐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폭스바겐이 지난달 22일 전 세계 1100만 대의 디젤차가 조작장치를 장착했다고 발표했고, 국내에도 문제가 된 12만1038만대의 아우디와 폭스바겐이 운행중에 있다. 세계적인 문제로 떠올랐기 때문에 해당 차에 대해 폭스바겐이 리콜을 실시하겠지만, 리콜을 하게되면 차 소유자는 연비가 떨어져 손해를 보게 되고, 리콜을 안 하게 되면 대기 환경이 악화되는 딜레마에 빠질 우려가 있다”면서 “소비자들에게 진정어린 사과와 손해 배상이 필요하다”고 질타했다.
한편 8일 열리는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폭스바겐 배출가스 논란에 관한 질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이승원 현대자동차 상무, 김효준 BMW코리아 사장, 토머스 쿨 폭스바겐코리아 사장, 요하네스 타머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대표, 디미트리스 실라키스 메르세데스 벤츠 코리아 대표 등이 증인으로 채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