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목욕탕'과 '여성', 그 관음성을 담은 캐롤라인 워커展

2015-10-07 14:20
  • 글자크기 설정

'After the Turkish Bath' (oil on linen, 190x240cm, 2015) [사진=스페이스K 제공]


아주경제 조가연 기자 =습기가 가득 찬 듯 흐릿한 모습의 여성들이 캔버스에 담겨있다. 짙은 회색과 청록, 검붉은 색의 각기 다른 그림들은 모두 하나의 장소, '목욕탕'을 배경으로 한다.

서울 강남구 스페이스K에서 진행 중인 '배스하우스(Bathhouse)'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작가 캐롤라인 워커의 국내 첫 개인전이다. 작가는 서양 미술이 여성을 표현하는 방식에 주목해 여성과 관음성(觀淫性)을 주제로 한 작품들을 그려왔다.
주로 고급 주택, 정원 등 사적인 공간을 다뤘던 전작들과 달리 이번 개인전은 사회적이면서도 내밀한 공간인 목욕탕을 주제로 했다. 작가는 온천으로 유명한 부다페스트에 머물며 경험한 것들을 캔버스에 옮겼다.

16세기 터키 스타일의 욕탕부터 현대식 스파까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목욕탕의 형태는 바뀌지만 증기가 가득 찬 공간에서 느껴지는 '비현실적'이고 '몽환적인 감각'은 고스란히 이어진다.

'세신(洗身)'이라는 지극히 개인적인 활동을 위한 공간이지만 동시에 대중이 사용하는 공공시설이라는 '목욕탕의 역설'은 보는 이를 매료시키에 충분하다. 
 

'Bathers' (oil on linen, 185x150cm, 2015) [사진=스페이스K 제공]


그림에 등장하는 여성들은 빈 공간에 시선을 던지거나 때론 캔버스 밖의 관객을 바라보고 있다.

감추기와 은폐, 감시와 관음성을 다뤄온 워커 특유의 색깔이 묻어나는 구조다.

이번 전시에선 특히 여성과 관음성에 대한 관심이 한층 돋보인다.

작가는 작품에 그리스 신화의 사이렌이나 인어, 물의 요정 등 신화 속 존재를 등장시키며 물이 가진 '생명', '어머니', '여성'으로서의 상징성을 강조했다. 

가상의 이야기를 풀어내기 위해 실제로 존재하는 공간을 무대로 삼아 작업해왔다는 작가는 그림 속 공간에 대한 정보는 드러내지 않았다.

덕분에 작품마다 미묘한 비현실성과 환상성이 적절히 유지되고 있다. 

서양 회화 속에서 다뤄졌던 '여성'이란 주제를 여성의 시선으로 다시 풀어낸, 이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기간은 내달 12일까지. 02-3496-7595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