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백현철 기자 = “문래동 주변에 젊은 예술인들이 운영하는 상가가 300개 정도 들어 왔어요. 홍대입구, 성수동, 경기지역 등에서 저렴한 임대료를 찾아 이곳으로 몰리고 있습니다. 수요가 늘다 보니 남아 있는 건물이 없어요. 그나마 있는 건물도 임대료가 비싸 팔리지 않고 있습니다.” (문래동 J 공인중개업소 관계자)
젊은 예술인들이 문래동 창작촌으로 모이고 있다. 홍대입구 인근에서 창작 예술을 하던 젊은 예술인들이 치솟는 임대료를 피해 모여들면서 형성된 문래동 창작촌이 급팽창하면서 임대료가 수직 상승하고 있다.
문래동 인근에서 수제반지 공방을 운영하는 정모(35)씨는 “합정동에서 수제반지 공방을 운영했었는데 임대료가 너무 비싸 공방 이전을 결심했다”며 “상대적으로 임대료가 저렴한 문래동에서 예술활동을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철강소가 떠난 자리에 젊은이들이 몰리지만 이마저도 공실이 없거나, 생각하는 적정 가격보다 비싸 팔리지 않는 실정이라는 게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4년 전만 해도 3.3㎡ 당 2만원 정도 하던 임대료가 최근 수요가 생기면서 2배가량 뛰었다.
문래동 A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젊은이들은 홍대를 피해 성수동에 자리를 잡았다가 임대료가 비싸 이쪽으로 온 사람들이 많다”며 “이런 추세라면 5년 뒤에 주변 임대료가 3배 가까이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래동 상가 임대료가 오르면서 홍대입구, 성수동처럼 '젠트리피케이션'(낙후됐던 구도심이 활력을 되찾아 임대료가 오르면서 원주민이 내몰리는 현상) 현상이 일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평범한 준공업지역이던 성수동 일대는 지난 2012년부터 젊은 예술가들이 몰리면서 ‘뜨는’ 지역으로 변했다. 그러나 유명세를 타고 임대료가 치솟자 성수동의 변화를 이끌던 예술인들이 견디지 못하고 성수동을 떠나기 시작했다. 성동구에 따르면 성수동1가의 임대료 상승폭은 2012년 5%에서 2015년 평균 35%로 폭증했다.
문래동에서 화원을 운영하는 차모(30)씨는 “결국 문래동도 이 추세라면 성수동처럼 사람들이 떠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성동구는 지난달 24일 '성동구 지역공동체 상호협력 및 지속가능 발전구역 지정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최근 임대료 상승을 견디지 못해 상인들이 떠나게 되는 젠트리피케이션을 막자는 취지다.
이 조례는 관할구역에 지역상권이 발전함에 따라 대형 프랜차이즈 등이 입점해 소상공인들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주민들이 협의체를 구성, 외부에서 들어오는 입점업체를 선별할 수 있게 해 도시경쟁력과 문화다양성을 보호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