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9/30/20150930111736442234.jpg)
[경기북부청제공]
올해 교육의 대미를 장식한 제16차 교육은 오병권 부천 부시장을 비롯한 부천시 공직자 131명이 참석한 가운데 파주 캠프그리브스 DMZ 체험관에서 30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진행된다.
도는 올해 분단 70주년을 맞아 비상사태 발생 시 공무원들의 대응능력 향상은 물론 안보·통일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시키고자 지난 6월 2일부터 총 16회에 걸쳐 도 및 31개 시·군 공직자 2,450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했다.
교육 프로그램은 1회당 120~180명이 참여한 가운데 1박 2일에 걸쳐 진행됐다.
1일차에는 비상대비 실무, 안보 특강, 비상대비 훈련 등에 대한 분임토의를 통해 향후 발전방안을 모색했고, 2일차에는 제3땅굴, 도라 전망대 등 최전방지역 안보현장에서 체험위주 교육을 진행했다.
특히 안보특강에서는 안보전문강사는 물론 북한이탈주민 출신 강사를 섭외해 생생한 북한사정과 안보현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교육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의정부시에서 재직 중인 한 교육생은 “최근 북한의 연이은 도발 등으로 인해 전 국민의 눈과 귀가 쏠렸던 DMZ 인근에서 교육이 실시된 만큼 교육에 임하는 자세가 평소보다 남달랐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올해 교육은 메르스 사태, 을지연습, 북한의 연천지역 포격도발 등 안보상황을 고려해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이후 남북고위급 회담으로 남북합의서가 도출됨에 따라 지난 8월 31일부터 교육을 재개, 31개 전 시군에 대한 교육을 성공리에 마무리 하게 됐다.
이강석 경기도 균형발전기획실장은 “이번 교육을 통해 공직자들은 어떠한 비상 상황에서도 침착하고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됐다.”면서, “앞으로도 안보‧통일 공감대를 확산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발굴·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기도는 파주시 등 북부지역 3개 시‧군이 휴전선에 직접 접하고 있고, 31개 시‧군 전체가 북한군의 장사정포 사정권내에 있는 등 북한의 도발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지역이다. 도는 현장 중심의 비상대비 교육을 내년에도 지속적으로 실시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