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의회의 ‘부천시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민간위탁 동의(안) 등의 보류결정은 오는 18일, 제206회 임시회가 폐회하는 시점까지 변동이 없을 경우 부천시립노인의료시설의 위⦁수탁기간이 오는 12월 31일자로 계약이 만료 되는 상황에서 새로운 위⦁수탁자를 선정하기란 시간상 어렵게 된다.
부천시가 새로운 수탁자를 선정, 재 위탁 하기 위해서는 공개모집 입찰공고, 입찰자 사업계획 등 접수, 수탁자 선정 평가위원회의 입찰자 평가, 선정된 수탁자와의 협의 및 협약, 인수·인계 등의 절차를 마무리 하기 위해서는 최소 3개월의 이상이 소요된다.
따라서 부천시가 선택할 수 있는 방인은 시가 직접 직영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밖에 없게 된다. 지난 여름‘메르스’로 인한 공포가 전국을 강타한 이후 시민들은 공공의료 기능의 역할과 강화에 기대는 분위기가 높아졌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고려할 때 현재 부천시가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인 직영방식이 최적의 대안으로 설득력을 얻고 있다.
부천시가 시립의료시설을 직영으로 운영해 나가고자 할 때 우선 극복해야 할 부분은 입원환자 및 이용시민의 불편 최소화, 대기수요자 해소, 현 근무자들의 고용승계부분 등이다.
부천시는 의료·복지의 공익성 강화, 운영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노인의료 복지시설’의 직영전환을 적극 검토해나가기로 방침 정하고, 원미보건소장을 총괄팀장으로 T/F팀을 꾸려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해 나가기로 했다.
원미보건소장은 "T/F팀원은 의료 및 복지분야 전문가들로 구성 운영한다. T/F팀은 공공병원의 장점인 저렴한 진료비용, 민간병원의 장점인 의료의 질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의료기관으로 자리매김해나가는 의료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천시가 준비에 들어간 직영운영시스템의 구체적인 세부실행(안)은 오는 10월 말까지 마련해 발표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