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9/16/20150916093726995921.jpg)
삼성SDI의 SPI 2015 전시부스[삼성SDI 제공]
아주경제 윤태구 기자 =삼성SDI가 새로운 에너지저장장치(ESS) 제품 풀라인업을 공개했다.
삼성SDI는 15~17일 미국 애너하임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 최대 규모 태양광 에너지 전시회 '솔라 파워 인터내셔널'에 참가해 '우리 생활 속 ESS'를 테마로 전시부스를 꾸미고 ESS용 리튬이온 배터리 셀 단위 제품부터 모듈·랙 등 에너지저장 시스템 전반의 제품과 기술을 소개했다.
시장조사기관 네비건트 리서치에 따르면 전세계 리튬이온 ESS 시장은 올해 1044MWh다. 이 중 북미가 340MWh로 32%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북미 ESS시장은 연평균 66%의 성장률로 2020년엔 약 12배인 4300MWh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북미 ESS시장은 대륙 특성상 넓은 땅에서 발전소의 전기를 수요 지역으로 얼마나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보내고 전력 피크(peak)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느냐가 에너지 활용의 주요 관심사다. 때문에 송배전망 중간에 설치하는 전력용ESS와 빌딩, 상가 등 상업시설에 피크 대응용으로 설치하는 상업용ESS의 수요가 높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9/16/20150916093831129941.jpg)
전기차용 고밀도 배터리 모듈을 탑재한 메가와트 ESS 'Mega E'[삼성SDI 제공]
삼성SDI는 이번 전시에서 MW 플랫폼과 함께 기존 납축전지 ESS에서 트레이(Tray)만 갈아 끼우면 리튬이온 ESS의 성능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48V 트레이', 양방향 설치가 가능해 편의성을 높인 UPS용 '듀얼타입 랙' 등 가정용부터 상업용까지 ESS 용도별로 세분화된 플랫폼과 신모델을 공개했다.
삼성SDI의 ESS에는 BMW, 아우디, FCA 등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에 공급 중인 전기차용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고밀도 셀 적용을 통해 에너지 밀도를 75% 가량 향상시켰고 공간 활용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주목할 만한 또 다른 신모델은 UPS용 듀얼랙(Dual Rack)이다. UPS용 납축전지를 대체하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한 모델로 양방향 설치가 가능하고 메탈 대신 플라스틱 모듈을 사용해 더 가볍고 설치가 편리해졌다고 삼성SDI는 설명했다.
삼성SDI 중대형전지사업부 ESS사업팀장 김우찬 전무는 "IT와 전기차용 배터리 기술력을 기반으로 개발한 이번 ESS 신모델 라인업에 대한 현지 고객들의 호응이 아주 높다"며 "이번 전시를 바탕으로 세계 ESS시장을 리딩하고 있는 북미 시장에서 삼성SDI의 브랜드 위상을 공고히 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