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연구원 "미국 금리 인상 시 신흥국기업 해외부채 부실 우려"

2015-09-13 13:06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미국의 금리 인상 시 해외부채를 과도하게 사용한 신흥국 기업의 위험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보미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13일 '미국 금리 인상이 신흥국 및 국내 기업의 해외부채 상환부담에 미칠 영향' 보고서를 통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적으로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신흥국 기업의 해외부채 규모가 크게 증가했다"며 이 같이 지적했다.
이 연구위원은 "신흥국 통화의 약세로 신흥국 기업의 외화표시 부채의 실질 상환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며 "미국의 금리 인상은 이들 기업의 외화자금조달 부담을 가중시켜 재무건전성을 악화시킬 위험이 있다"고 진단했다.

국제결제은행(BIS) 통계에 따르면 신흥국의 비은행 민간부문 해외차입은 2008년 1분기 1조4000억달러에서 올해 1분기 1조8000억달러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신흥국 비금융기업의 해외채권 발행 규모도 2048억달러에서 5713억달러로 2배 이상 늘었다.

특히 중국 기업의 해외부채는 같은 기간 3.5배 증가했다.

그러나 국내 기업의 해외부채의 경우 증가속도가 빠르지 않은 데다 단기부채 비중이 낮은 상황에서 환위험 회피를 위한 금융시장이 잘 발달돼 있어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했다.

이 연구위원은 "기업의 해외부채 상환부담이 증가하면서 신흥국 내 금융 불안정과 성장세 둔화가 두드러질 경우 국내 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기업은 신흥국 위험에 의한 파급효과를 감안해 외화부채를 줄이는 한편 환위험 헤지 등을 통해 유동성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