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9/13/20150913130637625264.jpg)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미국의 금리 인상 시 해외부채를 과도하게 사용한 신흥국 기업의 위험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보미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13일 '미국 금리 인상이 신흥국 및 국내 기업의 해외부채 상환부담에 미칠 영향' 보고서를 통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적으로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신흥국 기업의 해외부채 규모가 크게 증가했다"며 이 같이 지적했다.
국제결제은행(BIS) 통계에 따르면 신흥국의 비은행 민간부문 해외차입은 2008년 1분기 1조4000억달러에서 올해 1분기 1조8000억달러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신흥국 비금융기업의 해외채권 발행 규모도 2048억달러에서 5713억달러로 2배 이상 늘었다.
특히 중국 기업의 해외부채는 같은 기간 3.5배 증가했다.
그러나 국내 기업의 해외부채의 경우 증가속도가 빠르지 않은 데다 단기부채 비중이 낮은 상황에서 환위험 회피를 위한 금융시장이 잘 발달돼 있어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했다.
이 연구위원은 "기업의 해외부채 상환부담이 증가하면서 신흥국 내 금융 불안정과 성장세 둔화가 두드러질 경우 국내 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기업은 신흥국 위험에 의한 파급효과를 감안해 외화부채를 줄이는 한편 환위험 헤지 등을 통해 유동성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