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국감] 오신환 의원 "표준형 단독실손보험 보험료 인상폭 천차만별"

2015-09-13 09:58
  • 글자크기 설정

[사진=아이클릭아트 제공]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대부분의 손해보험사가 올해 표준형 단독 실손의료보험료를 인상했지만 보험사별 인상률이 실제 손해율과 차이가 있어 자의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1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오신환 의원(새누리당)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손보사별 실손보험료 인상률과 최근 3년간 손해율을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1개 손보사 중 10곳이 올해 보험료를 7.1~20.8% 인상했다.
단독형 상품 기준으로는 동부화재의 인상률이 20.8%로 가장 높았으며 △삼성화재 17.9% △현대해상 16.0% △메리츠화재 16.0% △KB손해보험 15.9% 순으로 나타났다.

한화손해보험(12.4%), 흥국화재(12.2%), 롯데손해보험(11.7%), MG손해보험(11.7%)은 10%대 초반 인상률을 보였으며 NH농협손보험은 7.1%를 인상했다.

단독형 실손의료보험은 기타 보장성 상품에 특약 형태로 판매되지 않도록 실손 부분만 별도로 보험료를 낮춘 상품이다.

2013년부터 판매돼 그동안 관련 경험통계가 충분하지 않아 상당수 손보사들은 보험료를 조정하지 못했으나 올해 일제히 보험료를 높였다.

그러나 손보사별 손해율과 보험료 인상폭은 제각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보험료를 올린 10개 보험사의 지난해 손해율은 92.1∼151.4%로 나타났다.

이 중 손해율이 106.1%로 낮은 편이던 삼성화재는 두 번째로 높은 보험료 인상률을 보였고 동부화재도 손해율은 전체 일곱 번째(129.3%) 수준이었으나 보험료 인상률은 가장 높았다.

오 의원은 "단독형 실손의료보험은 상품 내용과 특성에서 회사별로 별 차이가 없는 표준형 상품"이라며 "동일한 상품에 더 낮은 손해율을 기록했음에도 일부 손보사가 더 높은 보험료 인상 폭을 보인 것은 회사의 책임을 소비자에게 부담으로 떠넘기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