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9/11/20150911162132426673.jpg)
[사진=금융감독원 홈페이지]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7월부터 접수를 시작한 1사1교 금융교육 신청자 중에서 먼저 자매결연을 맺은 금융사 지점과 학교들이 이달 초부터 수업을 시작했으나 당초 방침과 달리 교육을 담당하는 일부 강사진에 대한 연수 또는 수업 교재에 대한 안내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강사 연수는 애초 신청자에 한해 접수를 받아 진행하기로 계획했다”며 “강의 경험이 많은 사람들은 굳이 연수를 받지 않아도 된다”고 답했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달 20일 금융교육 담당 강사 연수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학교와 결연을 맺은 금융회사에서 강사 연수 신청을 받아 강의기법, 교재 등을 설명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강사 연수의 신청 건수가 저조해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고, 심지어 연수 신청여부 자체를 모르는 경우도 있었다. 금감원이 계획한 지역별 강사 연수는 △서울 8월 27·28일 △대구 9월 1일 △광주 9월 2일 등 3곳에서만 진행됐고, 부산과 대전은 신청자 미달로 취소됐다.
또다른 문제는 강사들에게 금감원이 마련한 표준 교재 및 금융회사의 우수 교재에 대한 소개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금감원은 1사1교 금융교육 수업의 교재로 금감원에서 출판한 표준 교재와 금융회사의 우수 교재를 안내하고 강사들에게 선택권을 주기로 했지만 일부 강사들은 금시초문인 경우도 있었다.
강사로 참여한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회사에서 자체 제작한 학년별 전용 교재가 있어 그것으로 수업을 진행했다”며 “금감원에서 만든 교재가 있다는 사실을 들은 적도, 본 적도 없다”고 말했다.
이에 금감원 관계자는 “원칙적으로 각 금융회사 담당부서에 금감원 표준 교재에 대해 모두 안내했다”며 “전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여름방학이 끝난 직후인 지난달 말 금융교육 신청 접수가 몰리면서 실수가 있을 수도 있는 만큼 점검해 보겠다”고 덧붙였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교육의 취지는 충분히 이해하지만 당국이 너무 조급하게 밀어붙인다는 느낌이 든다”며 “전국 단위 교육 프로그램은 처음이라는 점을 감안해 속도조절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