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중소기업중앙회는 10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관에서 제2차 화학·플라스틱 산업위원회를 개최하고, 이란시장의 향후 전망과 진출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이란은 한국 중동 제3의 수출대상국이자 플라스틱·고무 및 염료 등 화학·플라스틱 제품의 20위권 수출시장으로 2012년 경제제재 강화에 따라 일시적으로 수출이 감소했다가 최근 증가세로 전환되는 등 긍정적인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조봉현 화학·플라스틱 산업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토의에서 “판로 다변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이란 시장은 중요한 전략시장이 될 것”이라며 “경제제재로 부족했던 생활용품과 건축용 자재 수요가 늘어나 국내 화학·플라스틱 중소기업에 기회로 작용, ‘제2의 중동 붐’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남두현 서강대학교 교수는 ‘플라스틱산업 현황 진단’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국내 플라스틱산업이 내수의존도가 높고 기업 간 경쟁이 매우 치열한 상황에서 주요 납품처의 해외이전, 저가제품 수입 확대, 환경규제 등으로 성장이 둔화되고 있다”면서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학연 중심의 통합적 기술개발과 수출 확대 및 판로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화평법·화관법·환구법 등 환경규제가 영세기업이 이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지적됐으며, 참석 위원들은 영세 중소기업의 이행부담 완화를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란은 한국 중동 제3의 수출대상국이자 플라스틱·고무 및 염료 등 화학·플라스틱 제품의 20위권 수출시장으로 2012년 경제제재 강화에 따라 일시적으로 수출이 감소했다가 최근 증가세로 전환되는 등 긍정적인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조봉현 화학·플라스틱 산업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토의에서 “판로 다변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이란 시장은 중요한 전략시장이 될 것”이라며 “경제제재로 부족했던 생활용품과 건축용 자재 수요가 늘어나 국내 화학·플라스틱 중소기업에 기회로 작용, ‘제2의 중동 붐’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남두현 서강대학교 교수는 ‘플라스틱산업 현황 진단’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국내 플라스틱산업이 내수의존도가 높고 기업 간 경쟁이 매우 치열한 상황에서 주요 납품처의 해외이전, 저가제품 수입 확대, 환경규제 등으로 성장이 둔화되고 있다”면서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학연 중심의 통합적 기술개발과 수출 확대 및 판로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