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전 세계 경제를 대혼란 속으로 빠트린 그리스의 국가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가 단순히 그리스 한 나라에만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경고음이 나오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글로벌 컨설팅업체 맥킨지 글로벌 연구소(MGI)를 인용해 지난 2007년 이래 선진국의 공공부채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평균 35%포인트 늘었다며 15일(현지시간) 이같이 보도했다.
WSJ는 국가 디폴트 사태를 '바퀴벌레'에 빗대 예외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나 하나만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고 지적했다. 다시 말해 국가 디폴트 사태가 연속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도미노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설명이다.
맥킨지의 수잔 룬드 파트너는 "현재의 경제 사이클 속에서 그리스가 마지막 채무조정 국가일까"라고 자문한 뒤 "답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전 세계를 둘러보면 대규모 부채와 저성장이라는 매우 위험한 조합 국면에 처한 국가들을 찾아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하버드대 경제학자인 카르멘 라인하르트와 케네스 로고프 교수는 "국가 디폴트가 무리지어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경고했다.
이어 1930년대에 미국의 대공황은 유럽과 중남미 국가의 디폴트를 초래했고, 1980년대에는 원자재 가격 하락에 따라 서구은행에서 차입을 크게 늘린 결과 신흥국의 디폴트 사태가 이어졌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WSJ는 "현재 디폴트 사태가 그리스와 키프로스, 아르헨티나 수준에서 그치고 있으며 전 세계가 주목할 만한 디폴트 사태는 많지 않다"면서 "하지만, 그 고요함은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우크라이나는 민간 채무 조정을 요구하고 있으며, 국가는 아니지만 푸에르토리코도 사정도 마찬가지다. 아일랜드와 스페인, 이탈리아의 경우 부채 일부에 대해 채무조정에 나서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맥킨지에 따르면 세 국가의 지난해 GDP 대비 부채비율은 각각 115%, 132%, 13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