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7/13/20150713165509344743.jpg)
김상곤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장. 새정치민주연합 ‘김상곤 혁신위원회’의 혁신안이 13일 진통 끝에 통과됐다. ‘직’까지 걸었던 김상곤 혁신위원장의 혁신안이 1차 관문을 통과한 셈이다. 이 안건은 오는 20일 중앙위원회에 상정한다. [사진=아주경제 유대길 기자 dbeorlf123@ ]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김상곤 혁신위원회’의 혁신안이 13일 진통 끝에 통과됐다. ‘직’까지 걸었던 김상곤 혁신위원장의 혁신안이 1차 관문을 통과한 셈이다. 이 안건은 오는 20일 중앙위원회에 상정한다.
하지만 계파 갈등의 최대 화약고인 △최고위원제 폐지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 인선 등이 이번 당무위 안건에서 배제된 데다, ‘사무총장 폐지’ 안건도 당무위 대비 최대 8배나 인원이 많은 중앙위에서 격론이 불가피해 최종 의결까지는 난항이 예상된다.
현역 의원의 선거 120일 전 지역위원장 사퇴, 당비 대납 원천 금지 및 대의원 상향식 선출제 도입 등에 따른 ‘당규 개정안’은 만장일치로 처리했다. 이는 100여명 안팎의 현 당무위원 중 다수가 ‘문재인 체제’ 이후 참여한 당직자로 구성된 것과 무관치 않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7/13/20150713165548179155.jpg)
새정치연합은 13일 국회에서 당무위원회를 열고 ‘사무총장 폐지’를 비롯해 △부정부패 등으로 직위 상실 시 재·보궐선거 무(無)공천 실시 △당원소환제 도입 등에 따른 ‘당헌 개정안’을 의결했다. 당무위원 정원 66명 중 35명이 참여한 가운데 찬성 29명, 반대 2명, 기권 4명로 통과한 것이다.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문재인 대표는 당무위 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혁신안이 다 받아들여졌다. 20일 중앙위에서도 혁신안이 잘 처리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도 “당무위원들이 흔쾌히 동의해줘 감사하다”고 전했다.
관전 포인트는 △당무위 안건의 중앙위 의결 가능성 △오는 9월 의결이 예정된 최고위원제 폐지·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 등 혁신안 지연 논란이다.
전자의 경우 당무위원회와는 달리 친노(친노무현)계가 중앙위에서 절대적 수적 우세를 점하지 못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비노(비노무현)계의 극한 반발로 혁신안이 막힐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
신당 창당설에 휩싸인 박주선 의원은 이날 ‘김상곤 혁신안’과 관련, “본질적인 내용은 덮어두면서 지엽적인 내용만 제안하고 있다”고 일침을 놨다. 친노계가 ‘당 대표의 기득권 포기’ 등의 핵심을 건들지 않은 채 ‘수박 겉핥기식’ 내용에 매몰한다면, 당의 원심력만 증폭될 수 있다는 비판으로 풀이된다.
계파 내 첨예한 갈등을 부른 최고위원제 폐지 등을 오는 9월 중앙위로 연기한 것도 논란거리다. 새정치연합 한 관계자는 “애초 세부적인 내용을 다듬어서 하기로 한 것”이라고 했지만, ‘김상곤 혁신위’가 혁신안을 밀어붙일 수 있는 동력이 없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김상곤 혁신안이 첩첩산중에 파묻힌 셈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7/13/20150713165632120316.jpg)
새정치민주연합 당무위원회의가 열린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문재인 대표가 혁신위원들과 인사를 나눈 후 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사진=남궁진웅 기자 time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