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정부연구개발 17조6000억원 투자...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대폭 늘어

2015-07-08 12:00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미래창조과학부는 7일 개최된 제14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에서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를 보고했다.

이번 결과는 2014년도에 33개 부·처·청·위원회가 집행한 정부연구개발예산 17조6395억원, 605개 사업, 5만3493개 세부과제를 조사분석해 최종 확정 발표한 것이다.
2014년도 총 투자액의 경우, 2013년도의 16조9139억원 대비 4.3% 증가한 17조6395억원으로 미래부 6조원, 산업부 3조2000억원, 방사청 2조3000억원, 교육부 1조6000억원, 중기청 9000억원 등 주요 5개 부처가 14조원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당 연구비는 3조3000억원으로 전년대비 0.8% 감소했으며, 연구수행주체별 지원규모로는 출연연 7조5000억원, 대학 4조1000억원, 중소기업 2조4000억원, 국공립연 9000억원, 대기업 7000억원, 중견기업 5000억원 순이었다.

연구개발 단계별로는 개발연구가 5조1000억원으로 가장 높았으나, 기초연구는 4조5000억원으로 나타나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총 연구책임자수는 전년대비 5.6% 증가한 3만2881명으로 이 중 남성이 2만8564명, 여성 4317명보다 6.6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으나, 전년 대비 다소 완화된 것으로 확인됐다.

○ 연구책임자의 연평균 증가율(ʼ10~ʼ14년)은 여성(14.9%)이 남성(7.6%)보다 2.0배 정도 높았으며, 이는 정부의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 활성화 정책에 따라 책임자급 여성연구인력이 증가한 것이 주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책임자 1인당 연구비는 전년대비 1.2% 증가한 4억2600억원이었으며, 40세 이하의 신진연구자당 연구비는 1얻4800만원으로 연구책임자 1인당 연구비의 34.5% 수준이었다.

이번 결과에 대해 김진형 연구제도정보과장은 “작년에 비해 수도권, 대기업, 개발연구에 대한 지원은 줄어든 반면, 연구책임자 1인당 연구비, 여성, 지방, 중소기업에 대한 연구지원은 증가된 것으로 조사됐다”면서 “이는 창조경제시대에 중소기업·지방·여성 등 창조경제의 핵심 인력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국가과학기술 창조혁신역량을 한 단계 도약하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