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협상 최종타결 7일로 1주일 연기... 오바마 "나쁜 협상으로 흐르면 언제든 중단"

2015-07-01 14:33
  • 글자크기 설정

[사진= 미국 국무부 제공 ]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 이란 핵 문제 해결을 위한 주요 6개국(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독일)과 이란 간 최종협상 타결시한이 1주일 연기됐다.

마리 하프 미국 국무부 전략 커뮤니케이션 담당고문 겸 대변인 대행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양측이 오스트리아 빈에서 장기해법마련을 위한 협상에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결정했다"며 "새로운 시한을 오는 7일"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6개국과 이란은 지난 4월 잠정 합의안을 발표하면서 지난달 30일을 최종 협상기한으로 정했다. 하지만 마감일 이전부터 기한이 연장될 것이라는 예상이 컸다.

협상의 주요 내용은 이란의 핵개발 프로그램을 영구적으로 억제하는 대신 서방 국가들이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를 해제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세부 사안에 대한 입장이 평행선을 달려왔다.

특히 군사시설 사찰 문제와 관련해 주요 6개국은 핵무기 제조 관련 기술을 개발할 가능성이 있는 이란 북부 파르친과 포르도의 우라늄 농축시설을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란은 국가안보와 직결된 문제라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협상시한 연기와 함께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지우마 호세프 브라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후 가진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나쁜 협상으로 흐르면 언제든지 협상을 중단할 수 있다"며 이란을 압박했다.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서로 합의한 것을 철저하게 지켜야 한다"며 "만일 상대가 합의를 어긴다면 우리는 과거로 되돌아 갈 것이며, 그것은 상상 이상으로 강력할 것"이라고 맞받아 쳤다.

이런 이견 노출에도 이미 잠정 합의안에서 포괄적인 의견 접근이 이뤄진데다 오바마 행정부와 이란 정부의 해결 의지가 강하다는 점에서 최종타결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이날 빈에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 등과 잇따라 양자 회담을 하고 나서 "협상이 긍정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타결이 가까이 있다"고 기자들에게 말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또 "타결(안)에 대해 유엔 안보리의 승인 결의안이 필요하다면, 그렇게 하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 역시 협상에 임하면서 최종타결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