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6/17/20150617092436513904.jpg)
[서울 자치구별 시가지 내 녹지비율]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최근 5년간 서울에 출현한 조류와 양서파충류가 각각 8종, 2종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 사이 조경수목식재지 면적은 약 30% 증가했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15 도시생태현황도'(비오톱 지도)의 내달 1일 서울지도 홈페이지(http://gis.seoul.go.kr) 서비스에 앞서 17일 발표했다. 2010~2015년 조류는 218종→226종이, 양서파충류는 28종→30종으로 변했다.
2005~2015년 서울의 조경수목식재지는 669ha(2058ha→2727ha) 늘었다. 이 기간 구로구 항동푸른수목원(2013년), 중랑캠핑숲(2010년) 등이 선보였다. 이는 서울시 면적(6만520ha)의 4.5%, 여의도 면적(840ha)과는 3.2배에 이른다.
산림을 제외한 시가지내녹지도 2005년 2382ha에서 올해 2860ha로 20% 많아졌다. 그동안 서울시가 민간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시 생태면적 비율을 확보토록 친환경 개발을 유도한 효과로 분석된다.
한편 도시생태현황도는 서울의 생태 및 토지이용 정보를 지도로 표현한 것이다. 지역 내 공간에 대해 비오톱(생물서식지)으로 구분하고, 각 비오톱의 유형(생태적 특성 분류)과 보전가치 등급을 적었다.
이번 비오톱 유형에서 개발행위가 제한되는 1등급으로 평가된 곳은 서울시 전체 면적의 22.86%(1만3913.8ha)이다. 5등급은 21.67%(1만3187.7ha)를 차지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향후 시민에게 합리적 토지이용 및 공간계획을 위해 지속적으로 도시생태현황도 갱신과 함께 원활한 운영 차원에서 수시정비를 체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