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조경수목식재지 최근 10년새 30% 증가… 생태지도 공개

2015-06-17 11:15
  • 글자크기 설정

[서울 자치구별 시가지 내 녹지비율]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최근 5년간 서울에 출현한 조류와 양서파충류가 각각 8종, 2종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 사이 조경수목식재지 면적은 약 30% 증가했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15 도시생태현황도'(비오톱 지도)의 내달 1일 서울지도 홈페이지(http://gis.seoul.go.kr) 서비스에 앞서 17일 발표했다. 2010~2015년 조류는 218종→226종이, 양서파충류는 28종→30종으로 변했다.
세부적으로 조류는 큰부리밀화부리, 무당새, 황여새 등이, 양서파충류의 경우 노란배거북과 실뱀이 신규 출현했다.

2005~2015년 서울의 조경수목식재지는 669ha(2058ha→2727ha) 늘었다. 이 기간 구로구 항동푸른수목원(2013년), 중랑캠핑숲(2010년) 등이 선보였다. 이는 서울시 면적(6만520ha)의 4.5%, 여의도 면적(840ha)과는 3.2배에 이른다.

산림을 제외한 시가지내녹지도 2005년 2382ha에서 올해 2860ha로 20% 많아졌다. 그동안 서울시가 민간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시 생태면적 비율을 확보토록 친환경 개발을 유도한 효과로 분석된다.

한편 도시생태현황도는 서울의 생태 및 토지이용 정보를 지도로 표현한 것이다. 지역 내 공간에 대해 비오톱(생물서식지)으로 구분하고, 각 비오톱의 유형(생태적 특성 분류)과 보전가치 등급을 적었다.

이번 비오톱 유형에서 개발행위가 제한되는 1등급으로 평가된 곳은 서울시 전체 면적의 22.86%(1만3913.8ha)이다. 5등급은 21.67%(1만3187.7ha)를 차지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향후 시민에게 합리적 토지이용 및 공간계획을 위해 지속적으로 도시생태현황도 갱신과 함께 원활한 운영 차원에서 수시정비를 체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