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6/11/20150611114837405289.jpg)
부경대학교가 2015 아시아 대학평가에서 교원당 논문 수에서 국내 대학 5위를 차지했다. [사진=아주경제 DB]
아주경제 정하균 기자= 부경대(총장 김영섭)가 2015 아시아 대학평가에서 교원당 논문 수에서 국내 대학 5위를 차지했다. 종합대학 가운데에서는 서울대에 이어 부경대가 2위였다.
11일 발표된 조선일보‧QS아시아 대학평가 결과에 따르면 교수들이 연구를 얼마나 많이 했는지를 보여주는 ‘교원당 논문 수’ 지표에서 광주과학기술원(GIST)이 국내 1위(아시아 3위)를 차지, 2위 한국과학기술원(KAIST)(아시아 7위), 3위 포스텍(아시아 12위), 4위 서울대(아시아 21위)에 이어 부경대가 5위(아시아 98위)에 랭크됐다.
부경대는 교수들의 연구를 독려하기 위해 자율창의학술연구비 제도를 도입하고 네이처 등 3대 과학저널에 실리는 논문에 포상금 1억 원을 내거는 등 우수논문에 대한 다양한 지원정책을 펴고 있다.
이번 평가에서 대학은 ‘의대 없는 대규모 종합대학 순위’(학생 수 1만2000명 이상)에서 국내 4위(아시아 59위)에 올랐다. 공정한 평가를 위해 학과 특성상 교원 수도 많고 연구논문도 많이 발표되는 의대를 비교대상에서 제외한 평가에서 부경대가 국내 선두권에 오른 것이다.
평가는 △연구 영역 60%(학계 평가 30%, 교원당 논문 수 15%, 논문당 피인용 수 15%) △교육 여건 20%(교원당 학생 수) △졸업생 평판도 10% △국제화 영역 10%(외국인 교원 비율 2.5%, 외국인 학생 비율 2.5%, 해외로 나간 교환학생 2.5%, 국내로 들어온 교환학생 2.5%) 등 4개 영역으로 이뤄졌다.
학계 평가는 전 세계 학자 4만2561명에게 이메일을 보내 ‘본인의 전공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실적을 보인 대학을 꼽아달라’는 온라인 조사로, 교원당 논문과 논문 피인용 수는 논문 데이터베이스인 ‘스코푸스’에 등재된 논문을 분석했다. 또 졸업생 평판도는 아시아 대학 졸업생을 채용한 전 세계 인사담당자 1만1657명을 대상으로 ‘유능한 직원의 출신 대학을 꼽아달라’는 온라인 조사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