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5/29/20150529093740605850.jpg)
강동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사진=걍동원 의원실 ]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특정 지역과 특정 학교 출신에 편중된 군 인사를 원천 봉쇄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군 장성급이 정권에 따라 줄서기를 하는 등 국민대통합을 저해하는 구태를 막기 위한 취지다.
강동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29일 군 장성급 고위인사 시 출신 지역과 출신 학교 등으로 차별받지 않도록 하는 ‘군인사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남북 대치 상황에서 선진강군 양성을 위해서는 출신지와 출신 학교 등에 구애받지 않고 능력과 전문성을 기준으로 군 인사를 단행해야 한다고 강 의원은 덧붙였다.
실제 지난 4월 7일 정부가 실시한 군 장성 인사에 따르면 육군의 경우 준장에서 소장으로 진급해 사단장으로 진출한 10명 가운데 6명이 영남 출신으로 드러났다. 특히 6명 중 5명은 대구·경북 출신으로, 특정 지역에 대한 편중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4명의 출신 지역은 서울, 경기, 충북, 전남 등이었다.
강 의원은 이와 관련해 “과거 특정지역과 특정학맥 등으로 뭉쳐진 군대 내 ‘하나회’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 바 있다”며 “남북대치 상황이 지속되고, 안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상황에서 군대 내에서 특정 지역과 특정 학맥 인사들이 승진이나 핵심보직을 차지한다면, 군 사기 진작에도 큰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국민대통합과 지역균형발전은 물론 안보강화 차원에서라도 군 장성급 인사 시 정권의 향방에 따라서 특정 지역과 특정 학교 출신 인사들 위주로 편중된 군 인사를 막아야 한다”며 “능력과 전문성을 가진 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하고 발탁하고 승진시키는 인사탕평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