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4명 “거짓 결근 경험 있다”

2015-05-26 08:14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직장인 10명 중 4명은 ‘거짓 결근’을 한 경험이 있었으며, 월요일에 가장 많이 결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대표 이정근)이 직장인 1892명을 대상으로 ‘거짓말이나 핑계를 대고 출근하지 않은 경험’에 대해 조사한 결과, 42.2%가 ‘있다’고 답했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43.3%)이 ‘여성’(40.5%)보다 거짓 결근을 한 경험이 더 많았다.

결근한 요일은 ‘월요일’(26.3%), ‘금요일’(20.4%), ‘수요일’(18.8%), ‘화요일’(16.7%), ‘목요일’(13.4%) 등의 순으로 주말과 함께 연달아 쉬는 경우가 많았다.

결근을 위해 했던 거짓말 1위는 52.3%가 선택한 ‘몸이 아프다’였다.

이어 ‘집에 급작스러운 일이 생겼다’(25.4%), ‘가족, 친지 등 경조사가 있다’(9.1%), ‘은행업무 등 중요한 개인용무가 있다’(6.9%) 등의 순이었다.

거짓 결근을 한 이유로는 ‘그냥 쉬고 싶어서’(54.3%,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면접 등 이직 관련 일정이 있어서’(35.6%), ‘사실대로 말하면 쉬지 못할 것 같아서’(30.5%), ‘늦잠 잔 김에 더 자고 싶어서’(20.3%), ‘갑자기 급한 일이 생겨서’(15.4%), ‘말 못 할 사정이 있어서’(15.2%), ‘여행 등 놀러 가기 위해서’(13.3%) 등의 응답이 있었다.

이들은 ‘쉬기 전 미리’(38.4%) 회사에 말하기보다는 ‘당일 아침’(61.3%)에 급작스럽게 연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응답자의 70.8%는 동료의 결근 사유를 거짓말이라고 의심한 경험이 있었다. 이에 대한 생각은 ‘나도 쉬고 싶기에 이해된다’(49.3%)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 상사인 직장인(1,295명)의 64.5%는 부하직원이 거짓 결근을 한 것 같다고 생각한 적이 있었지만 대부분(89.8%)은 ‘모르는 척 해줬다’라고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