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1분기 가계의 평균 소비성향(소득에 대한 소비의 비율)이 관련 통계 집계 이래 12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유가 하락으로 지출규모가 많이 줄어든 데다, 인구의 고령화 추세 속에 노후를 대비하고자 하는 가계가 돈을 벌어도 쉽게 쓰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15년 1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올 1분기 평균 소비성향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 줄어든 72.3%를 기록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전국 단위로 집계되기 시작한 2003년 이래 1분기 기준으로 최저치다.
평균소비성향은 모든 소득분위에서 함께 감소했다. 2분위(-3.1%p)가 가장 감소폭이 컸다. 이는 가계가 벌어들인 돈에 비해 씀씀이가 별로 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올 1분기 전국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51만7000원이다.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6% 증가했고, 물가상승을 제외한 실질소득으로는 2.0% 늘어났다.
근로소득(3.8%), 이전소득(10.4%), 재산소득(17.9%)이 증가한 반면 사업소득(-4.6%)은 감소했다.
주환욱 기획재정부 정책기획과장은 "최근 취업자가 늘고 임금이 상승하면서 (가계소득 비중이 가장 큰) 근로소득이 증가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소득 분위별로는 가장 저소득층인 1분위(7.6%)에서 소득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3분위(2.1%)와 4분위(2.0%)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가계로 흘러들어간 돈이 풀리지 않고 차곡차곡 쌓이고 있다.
가구당 월평균 지출은 1분기에 350만2000원으로 작년 1분기보다 0.2% 늘어나는데 그쳤다.
소비지출은 265만3000원으로 작년 동기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비소비지출은 84만9000원으로 1.0% 증가했다.
다만 유가 하락 요인을 제외하면 가계지출은 1분기에 0.8% 증가했을 것으로 기재부는 추산했다.
서운주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유가 하락으로 인해 지출이 줄어든 부분이 상당했다. 고령화 진행으로 전반적으로 소비를 줄이는 경향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본다. 유가를 제외하면 소비지출이 약간 반등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소비지출의 주요 항목별로 주로 음식류와 주거, 보건 항목에서 지갑을 연 반면 의류와 통신비, 교육비 등에서는 지갑을 닫았다.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35만1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 증가했고, 음식·숙박 지출은 외식 증가로 32만6000원으로 3.8% 올랐다.
보건비 지출은 17만9000원으로 4.0% 증가했다.
주거·수도·광열 부문 지출도 33만6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 증가했다. 주거용 연료비가 감소했으나, 월세 상승으로 주거비가 대폭 올랐다.
담뱃값 인상 여파로 담배 지출은 1만7000원으로 10.3% 증가했다. 주류 지출은 1만원으로 0.3% 감소했다.
통신비 지출이 14만6000원으로 8.4% 대폭 감소했다. 지난해 통신비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와 인터넷 가격 할인 등이 영향을 미쳤다.
교통비 지출이 유가하락에 따른 연료비 감소로 31만6000원으로 4.5% 줄었다.
가정용품·가사서비스 지출이 9만5000원으로 3.0% 감소했다.
교육비 지출도 34만3000원으로 1.6% 감소했다. 보험 등 기타상품·서비스 지출도 22만5000원으로 2.1% 증가했다.
1분기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84만9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 증가했다.
취업자 및 사회보험 가입자 증가, 보험료 인상 등의 영향으로 경상 조세가 7.0%, 사회보험이 5.0%, 연금이 4.4% 증가했다.
반면 이자율 하락으로 이자비용이 9.9% 감소했고, 기부금 등의 비영리단체로의 이전도 1.3% 줄었다. 경조사비를 포함한 가구간 이전지출도 0.3% 감소했다.'
소득분배 지표들은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추세를 이어갔다.
2014년 전체가구에 대한 지니계수는 0.302였다. 전체가구 통계를 시작한 2006년 이후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한 작년과 같았다.
지니계수는 소득이 어느 정도 균등하게 분배되는가를 나타낸다.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이 심하다는 의미다.
1분위(하위 20%) 계층 대비 5분위(상위 20%) 계층의 소득을 나타내는 소득5분위배율은 5.41배다. 2006년 5.38배를 기록한 이래 8년 만에 최저치다.
중산층(중위소득 50∼150%) 비중은 60.2%로 전년(60.1%)보다 0.1%포인트 소폭 상승했다.
작년 전체가구에 대한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상대적 빈곤율은 14.4%로 2013년과 비교해 0.2%포인트 줄었다.
주 과장은 "경기가 개선되는 흐름에 따라 소득 증가세도 지속되고, 소득분배 지표도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