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13개 컨소시엄에 94억원 지원

2015-05-20 11:01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 정부가 올해 융복합지원사업 대상자로 선정된 13개 컨소시엄에 총 94억원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20일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올해 지원대상자로 13개 컨소시엄을 최종 선정하고, 21일 협약식을 가진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2종 이상의 신재생에너지를 융합하거나 주택, 일반건물 등의 구역 복합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설치시 정부가 총사업비의 50%이내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정부는 지난 2013년 이후 2년간 32개 컨소시엄에 240억원(총사업비 528억원)을 지원해 왔다.

일례로 산업부는 지난해 융복합지원사업을 통해 해남의 삼마도와 옹진군 백아도에도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설치했다. 해남 삼마도에는 태양광 120kW, 풍력 30kW, ESS 1,200kWh 설치를 위해 11억원을 지원했으며, 인천 백아도의 경우 태양광 250kW, 풍력 40kW, ESS 1,125kWh 설치를 위해 국비 6억원 지원했다.

이번에 선정된 13개 컨소시엄의 총 사업비는 206억원이며, 이 가운데 정부는 94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우선 제주 비양도, 인천 지도, 충남 죽도에 태양광, 풍력 및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설치해 도서지역 전력의 상당부분을 공급할 예정이다.

폐광지역 경제활성화를 위해 전남 화순과 충남 보령에 8억2000만원을 지원해 신재생에너지설비 설치도 늘리기로 했다.

경남 하동, 경기 양구, 경북 포항에는 국비 22억1000만원을 들여 태양광, 태양열, 풍력, 소수력 등 신재생에너지원 융합을 지원할 방침이다.

아울러 충북 진천, 경남 거창, 강원 정선, 경남 남해, 경남 산청에는 39억6000만원을 지원, 태양광, 지열 등의 신재생에너지원 융합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문재도 산업부 제2차관은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을 통해 구역단위 에너지 자립을 지원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적극 추진해 나가고, 업계·학계·시민단체와의 소통을 통해 투자를 가로막는 애로사항을 지속적으로 해결해 나갈 예정” 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문 차관은 업계, 학계, 시민단체 등 전문가가 참석하는 ‘2015년 상반기 신재생에너지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그간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정책 추진현황 및 여건을 점검하고, 내년도 ’태양광-비태양광‘ RPS 시장통합, ’신재생연료혼합의무화제도(RFS)‘ 본격 시행 등에 앞서 업계의 의견을 수렴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