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2020년 온실가스 30% 감축 정부안 불가능, 재산정해야”

2015-05-13 18:11
  • 글자크기 설정

[그래픽=전경련 제공]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 전 세계가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는 2020년 이후 신기후체제 출범을 앞두고 우리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조만간 국제연합(UN)에 제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정부가 제시했던 ’2020년 배출전망(BAU) 대비 30%‘ 감축목표는 사실상 달성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재산정해야 한다며, 이를 기반으로 2030년 감축목표를 제시할 경우 국제사회 신뢰를 깰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전경련은 13일 최근 몇 년간 배출실적이 배출전망을 지속적으로 상회하고 있어 정부의 배출전망이 과소산정 되었다고 주장했다. 배출전망은 과거 감축수준이 미래에도 지속된다는 가정에서 산출된 것으로 기업의 추가적인 감축노력이 더해지면 배출실적이 배출전망을 항상 하회해야 한다.

하지만, 최근 배출실적은 배출전망을 2010년 1400만t, 2011년 3100만t, 2012년 2000만t 계속해서 초과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이행 첫 해인 2012년에 산업계는 예상 배출총량의 3.78%를 감축해 목표인 1.41% 보다 높은 성과를 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출실적이 배출전망을 여전히 초과하고 있어 배출전망 오류에 대한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전경련은 강조했다.

전경련은 또한 202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정부가 감축목표 설정 당시 제시했던 감축방안들이 모두 이행되어야만 달성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주요 감축수단은 기술 제약, 정부 정책 변화 등으로 이행에 차질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표적인 온실가스 감축기술인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CCS)은 2020년 이전 상용화를 전제로 감축수단에 포함되었으나, 안정성 등의 문제로 상용화 시기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화석연료 사용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추출한 후 압력을 가해 액체 상태로 만들어 저장하는 CCS는 지하 약 1000m 깊이의 유전, 가스층 등을 사용해야 하는 저장 장소의 한계, 저장된 기체 배출시 유해성 문제 등으로 대규모 실증사업 추진이 부진하다.
 

[그래픽= 전경련 제공]


또한, 대규모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저탄소 에너지원인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 확대가 필수적인데 정부의 2차 에너지 기본계획에서 비중이 축소되거나 목표시점이 늦춰져 감축목표 달성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2014년 1월 최종 확정된 제2차 에너지 기본계획에서 원전 설비 비중이 2030년 41%에서 2035년 29%로 낮아졌고,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 11% 달성시점이 2030년에서 2035년으로 늦춰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가 예상된다.

산업계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도 한계에 다다른 것으로 보인다. 이미 철강, 석유화학 등 주요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의 국내 기업들은 세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효율성을 확보한 상황이다. 에너지 효율화는 수출기업이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불가항력적 요소로 그 동안 산업계가 에너지 효율화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왔기 때문이다.

전경련에 따르면, 철강(조강 1t 생산), 석유화학(에틸렌 1베럴 생산), 정유(석유 1㎘ 생산), 반도체(웨이퍼 1㎡ 생산) 등 주요 업종의 에너지 효율에서 한국을 100으로 놨을 때, 철강의 경우 일본은 104, 호주 106, 미국은 118이며, 석유화학은 아시아 126.9, 유럽 144.8, 북미 167.2로 큰 차이를 보였다. 정유도 일본 109, 유럽 110.5, 북미 118이며, 반도체는 일본 101, 타이완 117, 미국 202이었다. 수치가 낮을수록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뜻인데, 조서결과 한국 산업의 에너지 효율은 압도적으로 높았다.
 

[표= 전경련 제공]


주요국들은 자국 경제여건 등을 고려하여 달성 가능한 수준에서 2020년 이후의 감축목표를 제출했거나 제출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2025년까지 2005년 대비 26∼28%’ 감축목표를 제출한 미국은 최근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석탄의 50% 수준에 불과한 셰일가스 사용이 본격화된 것을 감안하여 목표를 제출한 것으로 평가된다. 뿐만 아니라 경제여건이 변할 경우 과거 부시 행정부가 경제사정을 이유로 교토의정서 비준을 거부한 사례가 되풀이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25∼30%’ 감축목표를 제출한 러시아는 2012년 배출량이 이미 1990년 대비 약 50% 감소한 상황으로 목표 달성을 위한 부담이 없는 상태이다.

우리 제조업 경쟁국인 일본의 경우 ‘2030년까지 2013년 대비 26%’ 감축목표를 내부적으로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가동 중단된 원자력 발전 비중을 20%까지 늘려 목표를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산업 부문의 감축목표는 6.5%로 가정 부문 39.3%, 에너지 전환 부문 27.7% 등과 비교해 낮은 수준을 제시해 산업경쟁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온실가스 최다 배출국인 중국의 경우, 2014년 미·중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주석이 “2030년을 전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더는 늘리지 않겠다”고 선언하였다. 이를 분석해볼 때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은 줄어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온실가스 의무감축을 다루는 교토의정서가 주요국 탈퇴로 사실상 와해되고 신기후 체제가 새로이 논의되고 있는 것은 각 국이 달성하기 힘든 감축목표를 제시했기 때문이다”며, “우리도 2020년까지의 감축목표에 대한 이행 가능성을 면밀히 검토한 후, 2020년 이후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우리나라 산업구조와 경쟁력을 감안하여 실제 달성이 가능한 현실적인 수준에서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