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대변인실은 이날 "북한이 역내에서 긴장을 추가로 고조시키는 행동을 자제하고 국제적 의무와 약속을 충실히 이행하는 구체적 조치들에 초점을 맞추기를 촉구한다"며 "북한의 군사행동과 한반도 상황을 긴밀하게 주시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은 동맹국에 대한 방위공약을 견고히 지키고 있으며 한국과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엔 안보리는 2006년 채택된 안보리 결의 1695호를 시작으로 2013년 채택된 2094호까지 북한에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한 모든 발사체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북한 전문 웹사이트인 '38노스'를 운영하는 조엘 위트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 연구원은 "북한이 기존의 탄도미사일을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할 경우 앞으로 수년에 실전 배치될 가능성도 있다"고 예측했다.
그는 "북한이 핵무기와 미사일을 개발하는 것은 스스로를 방어하면서 주변국을 위협하려는 이유 때문"이며 "협상용으로 위기를 조성하려고 한다는 주장은 말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앞서 북한은 한국 시간으로 9일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을 통해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참관하에 잠수함 탑재 탄도미사일의 수중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또 북한은 동해상에서 KN-01 대함미사일 3발을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